식민지주의 종말 - 식민지는 최근까지 운영되고 있던 경제 정책, 인종차별 철폐는 그 후.
2021-08-12
카테고리:아시아
랭킹 참여 중이에요클릭 응원 부탁드립니다.
식민주의의 종식
국제사회 최초로 식민주의가 국제적으로 부정된 것은 1960년 12월 14일 유엔 채택, 식민지와 인민에게 독립을 부여하는 선언(Declaration on the Granting of Independence to Colonial Countries and Peoples)에 따른 것이다.대동아전쟁을 비판했던 유엔이 종전 후 15년간 식민지 정책을 용인해 왔다.더욱이 이는 선언일 뿐 실제로는 1990~2000년을 식민주의 폐절의 10년으로 지정하고 있다.
식민주의의 종식은 경제적인 이유
식민주의의 폐절은 인도적 견지라고 말하는 사람이 많지만 실제로는 경제적으로 합리적이지 못한 형태가 된 것이 큰 요인이다.
세계 자본시장이 탄탄해져 한 나라를 통째로 통치하는 것보다 성장성이 높은 기업만 인수해 이익을 얻는 것이 좋다.성장이 멈추면 쉽게 철수할 수 있어 리스크가 적다.자본 투하를 해도 성장하지 않는다면 나라를 식민지로 만들어도 이익이 증가하지 않는다.
인종차별철폐법안
일본은 1919년 국제연맹에 인종차별철폐법안을 제출한 바 있다.이는 국제사회에서 인종차별 자체를 철폐할 것을 요구한 최초의 제기다.그로부터 41년 후 국제사회는 앞으로 식민지 정책을 폐지해 나가자는 결의를 했다.
인종차별 철폐되지 않고
이는 식민지를 철폐하는 국제적 틀이지 인종차별을 철폐하는 것은 아니다.실제로는 미국에서 인종차별을 합법화하는 짐 크로우법의 철폐는 1964년이 된다.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의 아파르트헤이트 철폐는 1994년이다.
랭킹 참여 중이에요클릭 응원 부탁드립니다.
[관련 기사]
스리랑카에서 반정부 시위가 활발하다 - 중국에 빚진 경제. 일대 일로는 지구 규모로 붕괴되나
스리랑카에서 반정부 시위 폭도화
채무의 덫에 걸린 스리랑카
유럽까지 도달하는 바닷길
우크라이나는 육로의 요지
일대일로 정책 붕괴
스리랑카에서 정부에 대한 항의 시위가 이어지면서 일부가 폭도화하고 있다고 한다.
코로나 여파로 관광업이 부진하고 달러 부족 속에 경제위기에 처한 상태에서 민중의 스트레스가 극에 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고타바야 라자팍사 대통령은 4월 1일 비상사태 선포를 발령하고 야간 금지령을 내렸는데, 이를 어기고 민중들은 야간에 외출해 시위를 벌였다.
스리랑카 경제 침체의 원인의 근저에는 중국에 대한 고액의 채무가 있다.스리랑카는 중국 일대일로정책의 채무의 덫에 빠졌고 함반타항은 99년간 중국의 조차지가 됐다.
일대일로 정책은 AIIB라는 투자은행을 통해 신흥국에 상환 불능의 자금을 제공하고 상환 불능이 되면 그 나라의 무역 요충지를 잡으러 간다는 흐름이다.
일대일로가 성사되면 그 나라들은 부유해지니 쉽게 빚을 갚을 수 있다.그러니 당장 돈을 빌려 환경정비를 하면 일대일로 중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논리인데, 미중 관계 악화로 일대일로는 암초에 걸렸다.빚만 누워 있는 셈이다.
중국에서 인도양으로 빠져나간다는 목적에서 중인관계의 악화는 일대일로를 크게 후퇴시켰다.
미얀마의 군사정권 탄생은 중국의 지원이 나오고 있으며 미얀마를 통해 중국은 벵골만에 들어갈 수 있게 된다.그리고 인도 동남쪽 스리랑카는 인도양, 아라비아해를 항해하기 위해 필요한 중계 지점이 된다.
이번 스리랑카 폭동이 발전해 반중 정권이 탄생했다면 중국으로서는 정신이 없을 것이다.중국의 남쪽 해양 루트가 끊길 수도 있다.
현재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 키예프는 일대 일로의 북쪽 길목이다.2020년 6월 우한-키예프를 잇는 화물선 '중유럽 반열'이 운항을 하고 있다.
키예프를 유럽과 중국을 잇는 길목으로 우크라이나와 중국의 관계는 긴밀해졌다.
우크라이나는 중국에 옛 소련제 항공모함, 전투기, 미사일을 제공하고 중국은 경제지원을 우크라이나에 제공한다.중국은 원하는 것은 모두 우크라이나에서 얻었다고 말한다.
그리고 탈러시아 경제를 지향하는 우크라이나의 주요 무역 상대국은 중국이 1위를 차지한다.아이러니하게도 일본 대만 및 아시아 각국을 위협하려는 무기는 우크라이나로부터 공급받은 것이다.
이번 우크라이나 문제에 대해 중국의 대응이 모호한 것은 일대일로 정책도 크다.키예프에서 문제를 일으키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게 중국의 속내일 것이다.
우크라이나 위기에 의해 북쪽 육로는 괴멸 상태가 된다.그리고 동유럽 국가들은 마찬가지로 중국 경제에 의존하고 있는 나라가 많지만 러시아의 위협에 대해 내일은 내 몸으로 여기는 가운데 중국의 우크라이나 문제에 대한 모호한 태도에 비판이 집중되고 있다.
만일 러시아가 키예프를 손에 넣었다면 일대일로는 러시아와 손을 잡아야 한다.중국으로서는 통제가 어려운 러시아보다 우크라이나가 낫다고 생각할 것이다.
지구 규모로 볼 때 여러 이유로 일대 일로는 붕괴로 치닫고 있다.
네팔의 교육문제와 일본의 지원활동 - 한일병합시대에도 이루어진 학교교육 보급활동.
네팔 지원을 하는 일본
아직 여자의 지위가 낮다
아시아에 학교를 계속 세운 일본
문맹률이 압도적으로 낮았던 한반도
제도만으로는 사회는 변하지 않는다
네팔은 중국과 국경을 접하고 아시아의 발전에서 뒤처진 나라다.네팔 룸비니는 부처가 탄생한 땅이기도 하며 현재는 힌두교도가 많다.경제 고립화의 하나로 중국 공산당은 불교 힌두교를 배척하니 그럴 이유도 있는 것일까.일본은 네팔에 많은 지원을 해왔다.일본 유학생은 국가별로 네팔이 3위다.
네팔의 농촌 지역에서는 아직도 여자아이가 학교에 다니는 것은 어렵다.결혼하면 집에서 나가버리는 것이고, 그때까지는 일꾼으로서 필요한 노동력이며, 집이 딸을 학교에 보낼 이유가 경제적으로 없는 것이다.네팔에서 일본 대학으로 유학을 떠난 남성이 마을에 학교를 설립해 일본인과 함께 시찰을 가는데 네팔 가정형편의 벽에 부딪혀 학교에 다니고 싶다는 여자아이가 아버지의 이해를 얻지 못해 통학을 할 수 없다.거기에 네팔인과 일본인으로 아버지를 설득해 학교에 다니는 용서를 얻는다.
일제강점기에 일본은 아시아에 많은 학교를 설립했다.한반도도 마찬가지다.거기에는 지금 네팔에서 일어나고 있는 문화나 연중의 벽이 있어, 일본인이 교육에 대해 아이의 부모 한사람 한사람을 설득하는 일을 영원히 반복했다.한반도뿐 아니라 대만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 일제 치하 국가들은 전부다.우선은 문맹률의 향상이다.역사적으로 일본에서는 글자를 읽을 수 없으면 불편할 것이라고 온 동네에서 서당이라는 사숙이 많이 해설되어, 에도시대에는 문맹률이 이미 80%에 이르렀다고 한다.
한일합방 전 한반도에서는 문맹률이 압도적으로 낮았다.양반 이외의 평민은 80%가 문맹이었다고 한다.노비에 이르러서는 궤멸적이다.글을 읽지 못하면 학문을 할 수 없다.일본은 한반도에 학교 교육 제도를 도입시키고 신분 제도도 폐지해 모든 아이들이 학교에 다닐 수 있는 환경을 만들었다.그리고 이런저런 사정으로 학교에 아이를 보내지 못하는 부모님을 설득하러 선생님 스스로가 가정을 방문해 간 것이다.
신분제도를 내일부터 철폐한다고 하면 다음날부터 없어지는 것은 아니다.1930년대에도 한반도에 노비는 존재했다고 하며 학교에 다니지 못하는 아이들도 아직 많이 있었다.제도를 도입할 뿐만 아니라 많은 일본인이 그 제도가 실제로 운용되기 위해 수백 년이나 계속된 통념을 바꿀 수 있도록 사람들을 설득해 나간 한 사람 한 사람의 노력이 있었다는 점은 중요하다.
한국은 일본에 수탈되었다, 노예화되었다는데 신분제도를 폐지하고 학교교육을 도입하는 식민지가 어디에 있을까요?
부탄 국왕의 후쿠시마 방문 동북 대지진 후, 2011년 11월에 부탄 국왕 부부는 후쿠시마현의 초등학교를 방문했다.2011년 10월에 결혼한 다음 달이 된다.문재인은 2021년 7월 공간 선량계를 이용해 일본 식재료 검사를 열심히 했다.
캄보디아 시아누크 전 국왕은 전후 히로히토 당시 천황을 격려 때문에 일본 방문하는 대일 전후 배상 청구권을
캄보디아의 시아누크 전 국왕은 제2차 세계대전에서 일본의 패전 후 침체된 일본에 대해 쇼와 천황을 격려하기 위해 일본을 방문한 첫 국왕이다.캄보디아 정부는 1954년에는 캄보디아 일본 공사관에 대해, 대일 전후 배상 청구권의 포기를 선언.폴 포트에 의한 동란이 발생해 독재자가 실권을 잡은 뒤 국제 원조로 달려간 것은 일본 자위대였다.
지뢰 제거, 도로 정비 등에서 자위대는 엄청난 성과를 올렸다.1963년 일본의 지원으로 일본 캄보디아 우호교가 건설됐다.지뢰, 불발탄, 폴 포트 잔당 게릴라에 의한 폭파 예고, 일본인 살해 예고가 진행되는 가운데 일본인 기술자들이 우호교를 완성했다.폴 포트파들의 내전으로 봉쇄된 채로 있다가 1994년 2월 25일 재개통했다.
일본 캄보디아 우호교는 1,000 리엘 지폐 뒷면에 그려졌다.동남아시아에서 수돗물을 유일하게 마실 수 있는 곳은 캄보디아 수도 프놈펜이다.기타큐슈시의 수도시설 원조로 실현되었다.현 국왕인 노로돔 시하모니 국왕은 아버지 시아누크 전 국왕으로부터 별명으로 도쿄짱이라는 이름을 받았다.
카슈미르 지역 인도군 증원 인도가 중국 국경 부근에 병사 5만 명 증원(전년 대비 140%).인도는 움직임이 빠르네.G7에 참가하고 바로 대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