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팔의 교육문제와 일본의 지원활동 - 한일병합시대에도 이루어진 학교교육 보급활동.
2022-02-14
카테고리:아시아
랭킹 참여 중이에요클릭 응원 부탁드립니다.
네팔을 지원하는 일본
네팔은 중국과 국경을 접하고 아시아의 발전에서 뒤처진 나라다.네팔 룸비니는 부처가 탄생한 땅이기도 하며 현재는 힌두교도가 많다.경제 고립화의 하나로 중국 공산당은 불교 힌두교를 배척하니 그럴 이유도 있는 것일까.일본은 네팔에 많은 지원을 해왔다.일본 유학생은 국가별로 네팔이 3위다.
아직 여자의 지위가 낮다
네팔의 농촌 지역에서는 아직도 여자아이가 학교에 다니는 것은 어렵다.결혼하면 집에서 나가버리는 것이고, 그때까지는 일꾼으로서 필요한 노동력이며, 집이 딸을 학교에 보낼 이유가 경제적으로 없는 것이다.네팔에서 일본 대학으로 유학을 떠난 남성이 마을에 학교를 설립해 일본인과 함께 시찰을 가는데 네팔 가정형편의 벽에 부딪혀 학교에 다니고 싶다는 여자아이가 아버지의 이해를 얻지 못해 통학을 할 수 없다.거기에 네팔인과 일본인으로 아버지를 설득해 학교에 다니는 용서를 얻는다.
아시아에 학교를 계속 세운 일본
일제강점기에 일본은 아시아에 많은 학교를 설립했다.한반도도 마찬가지다.거기에는 지금 네팔에서 일어나고 있는 문화나 연중의 벽이 있어, 일본인이 교육에 대해 아이의 부모 한사람 한사람을 설득하는 일을 영원히 반복했다.한반도뿐 아니라 대만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 일제 치하 국가들은 전부다.우선은 문맹률의 향상이다.역사적으로 일본에서는 글자를 읽을 수 없으면 불편할 것이라고 온 동네에서 서당이라는 사숙이 많이 해설되어, 에도시대에는 문맹률이 이미 80%에 이르렀다고 한다.
문맹률이 압도적으로 낮았던 한반도
한일합방 전 한반도에서는 문맹률이 압도적으로 낮았다.양반 이외의 평민은 80%가 문맹이었다고 한다.노비에 이르러서는 궤멸적이다.글을 읽지 못하면 학문을 할 수 없다.일본은 한반도에 학교 교육 제도를 도입시키고 신분 제도도 폐지해 모든 아이들이 학교에 다닐 수 있는 환경을 만들었다.그리고 이런저런 사정으로 학교에 아이를 보내지 못하는 부모님을 설득하러 선생님 스스로가 가정을 방문해 간 것이다.
제도만으로는 사회는 변하지 않는다
신분제도를 내일부터 철폐한다고 하면 다음날부터 없어지는 것은 아니다.1930년대에도 한반도에 노비는 존재했다고 하며 학교에 다니지 못하는 아이들도 아직 많이 있었다.제도를 도입할 뿐만 아니라 많은 일본인이 그 제도가 실제로 운용되기 위해 수백 년이나 계속된 통념을 바꿀 수 있도록 사람들을 설득해 나간 한 사람 한 사람의 노력이 있었다는 점은 중요하다.
POINT 한국은 일본에 수탈되었다, 노예화되었다는데 신분제도를 폐지하고 학교교육을 도입하는 식민지가 어디에 있을까요?
랭킹 참여 중이에요클릭 응원 부탁드립니다.
[관련 기사]
카슈미르 지역 인도군 증원 인도가 중국 국경 부근에 병사 5만 명 증원(전년 대비 140%).인도는 움직임이 빠르네.G7에 참가하고 바로 대응.
부탄 국왕의 후쿠시마 방문 동북 대지진 후, 2011년 11월에 부탄 국왕 부부는 후쿠시마현의 초등학교를 방문했다.2011년 10월에 결혼한 다음 달이 된다.문재인은 2021년 7월 공간 선량계를 이용해 일본 식재료 검사를 열심히 했다.
스리랑카에서 반정부 시위가 활발하다 - 중국에 빚진 경제. 일대 일로는 지구 규모로 붕괴되나
스리랑카에서 반정부 시위 폭도화
채무의 덫에 걸린 스리랑카
유럽까지 도달하는 바닷길
우크라이나는 육로의 요지
일대일로 정책 붕괴
스리랑카에서 정부에 대한 항의 시위가 이어지면서 일부가 폭도화하고 있다고 한다.
코로나 여파로 관광업이 부진하고 달러 부족 속에 경제위기에 처한 상태에서 민중의 스트레스가 극에 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고타바야 라자팍사 대통령은 4월 1일 비상사태 선포를 발령하고 야간 금지령을 내렸는데, 이를 어기고 민중들은 야간에 외출해 시위를 벌였다.
스리랑카 경제 침체의 원인의 근저에는 중국에 대한 고액의 채무가 있다.스리랑카는 중국 일대일로정책의 채무의 덫에 빠졌고 함반타항은 99년간 중국의 조차지가 됐다.
일대일로 정책은 AIIB라는 투자은행을 통해 신흥국에 상환 불능의 자금을 제공하고 상환 불능이 되면 그 나라의 무역 요충지를 잡으러 간다는 흐름이다.
일대일로가 성사되면 그 나라들은 부유해지니 쉽게 빚을 갚을 수 있다.그러니 당장 돈을 빌려 환경정비를 하면 일대일로 중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논리인데, 미중 관계 악화로 일대일로는 암초에 걸렸다.빚만 누워 있는 셈이다.
중국에서 인도양으로 빠져나간다는 목적에서 중인관계의 악화는 일대일로를 크게 후퇴시켰다.
미얀마의 군사정권 탄생은 중국의 지원이 나오고 있으며 미얀마를 통해 중국은 벵골만에 들어갈 수 있게 된다.그리고 인도 동남쪽 스리랑카는 인도양, 아라비아해를 항해하기 위해 필요한 중계 지점이 된다.
이번 스리랑카 폭동이 발전해 반중 정권이 탄생했다면 중국으로서는 정신이 없을 것이다.중국의 남쪽 해양 루트가 끊길 수도 있다.
현재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 키예프는 일대 일로의 북쪽 길목이다.2020년 6월 우한-키예프를 잇는 화물선 '중유럽 반열'이 운항을 하고 있다.
키예프를 유럽과 중국을 잇는 길목으로 우크라이나와 중국의 관계는 긴밀해졌다.
우크라이나는 중국에 옛 소련제 항공모함, 전투기, 미사일을 제공하고 중국은 경제지원을 우크라이나에 제공한다.중국은 원하는 것은 모두 우크라이나에서 얻었다고 말한다.
그리고 탈러시아 경제를 지향하는 우크라이나의 주요 무역 상대국은 중국이 1위를 차지한다.아이러니하게도 일본 대만 및 아시아 각국을 위협하려는 무기는 우크라이나로부터 공급받은 것이다.
이번 우크라이나 문제에 대해 중국의 대응이 모호한 것은 일대일로 정책도 크다.키예프에서 문제를 일으키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게 중국의 속내일 것이다.
우크라이나 위기에 의해 북쪽 육로는 괴멸 상태가 된다.그리고 동유럽 국가들은 마찬가지로 중국 경제에 의존하고 있는 나라가 많지만 러시아의 위협에 대해 내일은 내 몸으로 여기는 가운데 중국의 우크라이나 문제에 대한 모호한 태도에 비판이 집중되고 있다.
만일 러시아가 키예프를 손에 넣었다면 일대일로는 러시아와 손을 잡아야 한다.중국으로서는 통제가 어려운 러시아보다 우크라이나가 낫다고 생각할 것이다.
지구 규모로 볼 때 여러 이유로 일대 일로는 붕괴로 치닫고 있다.
아시아 해방 전쟁인 대동아 전쟁 일본 통치에 의한 근대화의 성과는 아시아 각국의 독립 콜럼버스: 아메리카 대륙 발견 1492년
바스코 다 가마: 희망봉 도달 1488년
동인도 회사 설립 1600년
수에즈 운하 1859년(건설개시) 1869년 완성
시베리아 철도 1850년(건설 개시) 1902년(1부 제외 완성), 1904년 완성
백인의 아시아 식민지화 움직임은 1600년부터 본격화되고 있습니다.아프리카 최남단의 희망봉을 돌아 아시아에 이르는 항로를 이용했습니다.아시아의 향신료, 물산을 유럽으로 가져가서 장사를 하기 위해서입니다.
그동안 아시아와 무역을 할 때는 이슬람권의 중개를 거쳐야 했고 직접 아시아로 가는 방법 를 모색해 왔습니다.그리고 아시아의 서남부에서 차례차례 식민지화가 진행되었고, 그리고 중국도 차례차례 조차되고 있습니다.
수에즈운하 개통 로 더욱 접근하기 쉬워진 것은 아시아 식민지화에 큰 기여를 했습니다.
수에즈 운하는 아프리카 남단을 우회하지 않아도 되는 숏컷 운하입니다.시베리아 철도는 극동아시아를 식민지화하기 위해 부설되었습니다.
러시아는 입지적으로 항로가 아시아까지 가장 멀고 겨울에는 항구가 얼기 때문에 육로로 아시아를 식민지화할 계획을 세웠습니다.
시베리아 철도의 최종 목적지인 블라디보스토크는 한반도와 코앞입니다.이 움직임이 러일전쟁의 전제조건이 됩니다.시베리아 철도가 완공된 1904년은 러일 전쟁 중입니다.거기에 발틱함대가 입항할 예정 였습니다.
일본에서 보면 당시 아시아 국가들은 아무런 저항도 하지 못하고 서양의 노예가 되어 간다.각국이 독립자존을 유지하면 이렇게 되지 않는다.왜 서양에서 가장 먼 섬나라인 일본까지 백인이 오느냐는 것입니다.
중간에 나라가 제대로 작동하고 있다면 그렇게는 안 됩니다.즉 아시아 각국의 독립자존이 아시아 국가를 서양으로부터 보호하고 결과적으로 일본도 보호받게 된다.
당시 아시아에서는 각국이 협력하여 싸운다는 개념조차 존재하지 않았습니다.오히려 몸집이 큰 백인과 싸우는 것을 상상해 본 적조차 없었습니다.
아시아 동맹을 결성하다.바로 그 생각이 대동아공영권 구상입니다.일본은 싸우기로 선택했습니다.차례차례 백인 세력을 격파하고 근대 문명의 전파를 아시아 여러 나라에 실시해 갑니다.
대동아전쟁이란 아시아 국가들을 백인식민지 지배로부터 해방시키고 국력을 부여하는 것이었습니다.
일본이 통치한 아시아 제국에는, 나라를 만들기 위한 골조로서 정부 운영이나 행정의 역할, 조세에 대한 생각, 군비, 교육 제도등을 도입해 갔습니다.
백인의 식민지 지배는 그런 일을 하지 않습니다.노예가 지식을 얻기 시작하면 무기 사용법을 익히면 국가 운영을 위한 지식을 얻게 되면 어떻게 될까요?식민지 지배에서는 이러면 안 돼요.
식민지 경영은 군민이 살 수 있는 것만 주고 아침부터 저녁까지 일하게 하면 되잖아요.
일본이 영원히 통치할 생각이었다는 의견이 있지만, 일본 통치하의 각국의 발전에 대해 합리적으로 설명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4세기에 걸쳐 백인의 지배하에 있던 말레이시아나 인도네시아, 그 외의 나라 백인의 식민통치 실태를 보면 분명합니다.
일본 통치하에 가장 먼저 들어간 대만은 통치기간이 50년에 달하지만 위안부문제 등 기타 소송문제, 현재 일체의 마찰에 대해 존재하지 않습니다.일본의 대만 통치에 대해 전후 일본, 대만의 우호 관계에 대해 알아보는 것도 좋을 것입니다.
세계대전은 세계사의 관점에서 보지 않으면 아무것도 보이지 않습니다.적어도 A.C1600년 까지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한일 역사만으로는 한 장소를 돌아다니고 있을 뿐입니다.
말레이시아 백인 식민지 : 1511-1941 (430년) 일제 강점 : 1941-1945 (4년)
싱가포르 백인 식민지: 1511-1942 (431년) 일제 강점 : 1942-1945(3년)
인도네시아 백인 식민지:1602-1942(340년) 일제 강점 : 1942-1945(3년)
필리핀 백인 식민지: 1565-1946(381년) 일제 강점 : 1942-1944 (2년)
베트남 백인 식민지: 1887-1945(58년) 일제 강점 : 1940-1945 (5년)
브루나이 백인 식민지: 1888-1941 (53년) 일제 강점 : 1941-1945 (4년)
라오스 백인 식민지 : 1893-1949 (56년) 일제 강점 : 1940-1945 (5년)
캄보디아 백인 식민지: 1863-1953(90년) 일제 강점: 1941-1945(4년)
미얀마 백인 식민지: 1824-1937 (113년) 일제 강점 : 1942-1945(3년)
동티모르 백인 식민지 1515-1975(460년) 일제 강점 : 1942-1945(3년)
인도 백인 식민지: 1858-1947(89년)
대만 백인 식민지: 1624-1662(38년) 일제 강점 : 1895-1945 (50년)
한반도? 백인 식민지: 0년 일제 강점: 1910-1945(35년)
참고:
흑인 노예 무역 1441-1865(424년)
사상 최대 침략: 아메리카 대륙 인디언 6,500만 명 학살 1492-1917 (425년) (나치 유대인 학살 580만 명)
일본통치를 경험한 아시아 국가들은 국가의식을 가지고 국력을 기르고 종전 후 돌아온 유럽 국가들과 싸워 차례차례 독립을 쟁취해 나갔습니다.
중소득국 함정 TPP 온갖 수단을 동원해 일본 제품을 보이콧하는 한국
신흥국이 부딪치는 1만달러의 벽
자유경제가 경제발전의 전제
No Japan 운동은 민간에 의한 놀라운 규제
No Japan에서 한국 제품이 팔리나
중국,한국은 TPP 가입조건을 충족시키지 않는다
국내 경제가 규제투성이라면 의미가 없다
중산층 국가가 반드시 부딪힌다고 하는 '중소득국 함정(1만달러 함정)'이라는 것이 있다.신흥국이 경제성장을 해도 국민소득이 연 1만달러를 넘어선 단계부터 성장할 수 없다는 것이다.
원인은 인건비 급등으로 국제경쟁력이 둔화되거나 자본주의 민주주의를 전제로 유효한 투자를 얻지 못할 경우 1인당 GDP는 1만달러를 넘지 않는다는 것이다.
중국은 바로 이 1만달러를 조금 넘은 상태지만 이 벽에 직면해 있다.지금까지 1만달러를 돌파한 나라라면 일본 한국 대만 싱가포르 정도일까.
중국의 경우는 국가에 의해 특정 산업에는 큰 자금이 투입되지만, 그 이외의 산업에 파급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장벽이 있다.사회주의 국가, 독재 국가에 있어서는 경제 파급 효과는 부분적, 한정적이 된다.
한국의 No Japan 운동에 따른 경제효과란 일본 맥주가 팔리지 않았을 경우 한국 맥주가 그만큼 팔리고 있는지를 볼 때 어떻게 될까.
또 하나는 수입품을 포함한 맥주시장의 유지 또는 증가 여부.만약 감소하고 있다면 경제적인 마이너스 이외에는 아무것도 아니다.
유니클로의 매출 감소가 TOP10(한국의 의류 기업) 등으로 100% 이행하고 있는 것일까.만약 모두 이행하지 않았다면 경제에 부정적일 수밖에 없다.
No Japan 운동은 제도적인 규제는 아니지만, 어쨌든 규제도 억압도 경제에 있어서는 전혀 의미가 없다.
한국도 중국도 TPP 가입을 목표로 하고 있는 것 같지만, TPP는 국내외에 있어 자유 무역, 자유 경제를 전제로 하고 있다.중국은 사회주의에서 논외지만 한국도 국영기업이 많다.
자유무역협정을 맺어도 그 열매는 국내 기득권에 빨려 들어가 어디선가 경제발전에 기여하는 순환이 끊어지고 만다.
무엇보다 입구만 자유화해도 국내에 있어서의 규제에 의해서 일본 제품의 경쟁력이 약해지는 규제가 있다면, TPP 안에서 무역을 해도 일본에 있어서 의미가 없다.
여전히 중국도 한국도 후쿠시마산 농산품 수입 금지를 하고 있지만 명확한 과학적 근거 없이 선정적으로 규제하고 있다.무엇보다 한국은 전일본 상품을 보이콧하려는 것이다.
대만은 TPP 가입을 위해 후쿠시마산 농산품 규제를 해제했습니다.단지 TPP에 계속 들어가고 싶다고 말하면 넣는 것이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