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리자베스 여왕이 폐하 이틀 전까지 행해진 공무원들 - 영연방 왕국의 원수들에게 조의를 표하는 영국인들
2022-09-15
카테고리:유럽
랭킹 참여 중이에요클릭 응원 부탁드립니다.
마지막 이틀 전까지 진행된 공무
엘리자베스 여왕 마지막 공무는 승하 이틀 전이란다.트러스 신임 총리 임명과 교차한 국가원수의 승하는 것은 우연일까.그건 그렇고 여왕의 표정이다.그녀는 감정이 드러나는 인상이 있었는데, 그러면 트러스 신임 총리에 대해 매우 호의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영연방 왕국의 원수로 군림
엘리자베스 여왕은 영연방의 원수이며 엘리자베스 여왕(현재는 찰스 3세)을 국왕으로 하는 나라는 현재 안티구아 바부다 호주 바하마 벨리즈 캐나다 그레나다 자메이카 뉴질랜드 파푸아뉴기니 세인트크리스토퍼 네비스 세인트루시아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솔로몬제도 투발 그레이트브리튼 및 북아일랜드연합왕국 등 15개국이다.
조의를 표하는 영국민
영국 국민은 영국 왕실의 가십을 즐기고 일본인인 내가 보기에는 천박하다고 생각했는데 정작 여왕이 돌아가면 그렇지 않은 것 같다.스코틀랜드 발모럴성에는 많은 영국민이 모여 조의를 표하는 듯하다.원래 일본과 영국은 역사적으로도 관련이 있고 섬나라라는 공통점이 있다.그리고 영국 국왕, 일본 천황의 교류도 길다.그러면 국민의 공통점도 있는 것 같다.
나라 역사문화의 상징
상징으로 여겨지는 존재에 대한 경의란 이치가 아니다.국기에 경의를 표하는 것처럼 합리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없다.국가를 상징하는 것이 사라지거나 더럽혀지는 것에 대한 생각이 공통된 나라들과는 공통된 국민감정이 있는 것 같다.일본 천황을 모욕하거나 국기를 불태우는 그 나라는 영원히 알 수 없는 감정일 것이다.
랭킹 참여 중이에요클릭 응원 부탁드립니다.
[관련 기사]
우크라이나 문제로 보는 대만 문제.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역사 관계를 보다
러시아가 역사적 의미에서 우크라이나를 놓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역사상 러시아의 기원은 키예프 이기 때문이라는 이유가 크다.키예프는 오랫동안 러시아의 수도였다.
13세기 전반에 키예프 대공국이 몽골제국에 멸망하면서(타타르노미) 실질적으로 러시아의 주요 도시들은 200년간 중국의 지배를 받았다.
모스크바 대공국에 의한 지역 탈환 이후에는 수도는 모스크바가 되었고, 후에 1713년 표트르 대제가 중국 경제권, 문화권에서 벗어나기 위해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수도를 옮기면서 러시아의 유럽화 정책이 이루어진다.
페테르는 표트르의 어원인 예수를 섬긴 사도의 이름이다.영어권에서는 피터, 슬라브어권에서는 표트르, 독일어에서는 페테르, 프랑스어에서는 피에르가 된다.다 어디선가 들은 이름일 거야.
1917년 레닌이 혁명을 일으켜 수도는 현재의 모스크바가 되었다.
내가 세계사를 배울 때는 이런 느낌이었지만 러시아 제국은 우크라이나의 동쪽 절반을, 소련 시절에는 우크라이나를 포괄하고 있었다.
우크라이나 독립 후에도 러시아의 기원은 키예프라는 생각이 주류다.현재 우크라이나는 독립했기 때문에 러시아의 기원은 모스크바 대공국이며 우크라이나의 기원은 키예프 대공국이라고 설명하는 것도 많다.
어차피 같은 지역에서 벌어진 일이라 큰 차이는 없을 것이다.
러시아의 역사 키예프 대공국 (9c-12c) 블라디미르 수즈다리 대공국 (12c-14c) 노브고로드 공국 (12c-15c) 타타르의 軛 (몽골) (13c-15C) 모스크바 대공국 (1340-1547) 러시아 차르국 (1547-1721) 소비에트 연방 (17)
이 문제는 대만 문제와 공통되는 점이 많다.적어도 시진핑(習近平)은 대만이 역사상 중국임을 주장하고 있다.
유일하게 다른 점은 중국은 대만을 화외의 땅 라고 부르며 교류를 해오지 않았다.
1871년 미야코 섬 주민 조난사건이 발생해 대만인에 의한 일본인 어민 살해사건이 일어나 57명이 사망한 건에 대해 청조에 항의했을 때 대만 화외의 백성들이 저지른 일이므로 청조에 책임이 없다고 대답했다.
우크라이나와 같은 구도로 생각한다면 시안시를 중심으로 하는 문화권이 NATO에 들어가는 것과 같은 것을 생각하면 동등해진다.어쨌든 이번 움직임은 중국의 주장을 국제적으로 정당화하는 전례가 될 것이다.
우크라이나 문제, 대만 문제는 오랜 세월에 걸친 역사, 민속, 영토, 안보 등 많은 문제가 공통적입니다.
미군 2,000명 동유럽 파병 유럽미군 1,000명 루마니아 이동 우크라이나 고립
바이든 대통령은 2월 3일, 미군을 동유럽에 2,000명 파견할 것과 독일 등에 주둔하고 있는 미군 1,000명을 루마니아로 이동시킬 것을 발표했다.아울러 정부 고위 관계자는 우크라이나 전투에는 참가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
이미 유럽은 우크라이나에 파병하지 않겠다고 밝혔고 미국은 경제제재 이외의 카드를 제시하지 않아 우크라이나 파병은 없을 것으로 보였으나 이번 발표로 다시 우크라이나에 파병하지 않겠다는 뜻을 내비친 것이다.
이 상태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양국간의 문제로 떼어낸 라는 것이다.우크라이나의 제렌스키 대통령은 NATO 가맹을 향해서 관계 각국과 가맹전에 상정되는 위기에 대해서 아무것도 뿌리개 가 되어 있지 않아 결과적으로 우크라이나의 위기를 앞당긴 결과가 되어 버렸다.
2008년 4월 부쿠레슈티 정상회의에서 우크라이나는 실질적인 가맹준비(MAP) 진입에서 제외되지만, 장래적인 회원국으로 자리매김한다. 2014년 3월 크림 병합. 2019년 2월 젤렌스키 대통령은 헌법을 개정하여 향후 EU-NATO 가입을 목표로 한다는 방침을 명기. 2021년 4월 옌스 스톨텐베르크 나토 사무총장이 북대서양 이사회(NAC) 임시회동 후 기자회견 시 우크라이나에 가입신청권이 있다고 발언. 2021년 12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국경 부근에 10만명을 파병.
2014년 러시아에 의한 크림 병합에 대해 각국은 경제 제재를 부과했다.그 결과 러시아 경제에는 큰 타격이 되었지만 동시에 러시아 경제에 의존하는 우크라이나 경제가 막대한 손해를 입었다.
2014년 우크라이나 GDP는 7%나 하락 했고 우크라이나 통화인 프리브냐는 1달러 16 프리브냐에서 2015년 2월에는 1달러 34.2 프리브냐까지 하락해 경제위기를 맞았다.
그러자 우크라이나 정부는 금리를 30% 인상 하겠다는 깜짝 정책에 나섰다.2015년 3월 11일 IMF는 우크라이나 정부에 대해 4년간 175억달러의 재정 지원 조치를 취하기로 합의했다.
즉 나토가 우크라이나에 파병하지 않는다면 우크라이나는 러시아와 대치할 힘이 없고 나토 가입 의사를 철회하지 않으면 러시아는 진공하고 러시아에 대한 경제제재가 발동된다.
거기서 경제 위기에 빠지는 것은 우크라이나가 된다.젤렌스키 대통령에게 비책이 있을까.있을 것 같지는 않아.
이번 사건은 역시 젤렌스키 대통령의 읽기가 상당히 달콤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우크라이나 진공이 이루어지면 경제위기에 빠지는 것은 우크라이나가 됩니다.
우크라이나 사태 스위스서 블링켄 - 라브로프 외무장관 회담
미국의 블링켄 국무장관과 러시아의 라브로프 외무장관이 21일 우크라이나 정세를 놓고 회담했습니다.NATO의 불확대 등 러시아 측의 요구에 미국이 다음 주 답변하기로 하고 협의를 계속하기로 했습니다.
미국은 즉답을 피하고 협의를 계속함으로써 우크라이나 위기가 회피되는 방향으로 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그러나 미국 측이 러시아의 요구를 들어줄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우크라이나의 NATO 가입을 시키지 말라는 요구다.
원래 우크라이나의 의지에 의한 가맹 이기 때문에 가맹요건을 충족했다면 미국이 거부할 이유를 찾을 수 없다.
러시아 입장에 서면 우크라이나가 나토에 가입하면 러시아를 포위하고 압력을 가하게 된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진공은 시작되는가.국경 부근에 군대를 집결하는 러시아의 생각이란 에서 게재했지만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가 완충지대 로 되어 있을 뿐이다.
바르샤바 조약기구는 동유럽 국가들의 민주화에 의해 붕괴되었고, 옛 동유럽은 거의 서구권에 들어섰다.러시아도 나토에 들어가면 어떨까? 라고 생각합니다만, 미국 산하에 들어가는 것은 그렇게 간단하지 않을 것입니다.
어쨌든 러시아가 나토에 대해 러시아를 압박하지 말 것을 요구해 오는 의미에는 변함이 없어 향후 회담에 주목됩니다.
냉전 붕괴 이후 나토의 존재 의의는 무엇인가 하는 의문이 있지만 세계 자유주의 질서를 지킬 것임을 자인하고 있다.러시아에게는 대러시아 포위망이 아닐 수 없습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진공은 시작될 것인가.국경 부근에 군대를 집결시키려는 러시아의 생각과는
우크라이나 문제는 대만 문제와 비슷한 부분이 있다.옛 소련 국가들은 속속 NATO에 가입했고 현재 NATO와 러시아 사이의 완충지대는 벨라루스와 우크라이나다.
과거에는 베를린 장벽을 경계로 소련과 자유주의 국가가 접하지는 않았지만 현재는 양상이 다르다.우크라이나가 NATO에 가입하면 러시아는 완전히 NATO에 압박받는 구도가 된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진공을 시사하며 우크라이나의 절반을 제압하는 시나리오까지 그리고 있을 가능성이 높다.우크라이나의 수도 키예프는 원래 옛 러시아의 수도였던 곳이다.
러시아는 슬라브인들의 대이동에 의해 키예프를 수도로 한 국가건설을 실시하고 있었습니다.
우크라이나는 서유럽 경제권에 들어감으로써 나라가 잘살 것이라고 생각한 결과 러시아의 거센 압력을 받아왔다.
크림 위기는 러시아가 이를 저지하는 첫 단계다.우크라이나는 러시아에서 서유럽으로 천연가스를 수출하는 중계국으로 우크라이나가 서유럽으로 완전히 편입되면 경제안보상으로도 러시아에 타격이 된다.철의 장막이 우크라이나 국경으로 이동 한 것이다.
동아시아 안보의 최전선은 한반도 38선이었다.베를린 장벽은 냉전시대 유럽의 최전방 경계선이었고 동아시아에서는 38선이 경계선이었는데 그것이 현재는 대만해협으로 이동하고 있는 것이다.
세계에 전개되고 있는 미군의 편성에 대해서, 바이든 정권의 안전 보장 정책에는 의문이 있다.정말 미국의 입장을 보일 의사가 있는가.우크라이나 문제와 대만 문제는 이를 점치는 문제이기도 하다.
구냉전시대는 끝났지만 판도의 근본은 변하지 않았고 상대적인 파워 밸런스가 바뀌었으며 방위선도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우크라이나 주재 일본대사관 축소, 일본인에게는 도항 중지 권고.러시아는 키예프를 포위했다.
미영이 우크라이나 주재 대사관 직원들의 국외 대피를 결정한 뒤 일본은 위험정보 단계를 두 번째로 높은 레벨3로 높이고 여행 중지 권고와 모든 일본인에 대한 국외 대피를 촉구하고 대사관 직원 일부 대피 등을 통한 대사관 기능을 축소하기로 했다.
미-러 외무장관 회담은 실질적으로 결렬된 상태로, 러시아군은, 우크라이나 국경 부근에 주둔, 벨라루스나, 크림 반도에도 주둔해 거의 키예프를 포위한 상태 가 되고 있다.
우크라이나의 수도 키예프는 러시아의 수도 모스크바까지 850km 정도이며 벨라루스 국경까지는 불과 150km , 러시아 국경까지는 350km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현재 우크라이나는 NATO 가입 전이며 우크라이나 국내에는 우크라이나군이 있을 뿐 서방 국가들과의 거리는 훨씬 멀다.
물리적으로 생각해도 러시아군이 진군한다면 나토가 구원하러 간다고 해도 늦지 않고 순식간에 끝나 버릴 것이다.장기로 말하면 이미 막힌 상태다.
반대로 러시아 입장에서는 우크라이나가 NATO에 가입할 경우 러시아 국경 부근까지 NATO군이 주둔했다면 수도 모스크바까지 가까운 곳에 NATO군이 주둔하는 셈이다.
러시아에 우크라이나를 진공하는 것은 나토 가입 전인 지금밖에 없는 셈이다.
이 상황을 흥미롭게 보고 있는 것은 시진핑일 것이다.미국은 우크라이나 진공에 대해 경제 제재라는 카드밖에 제시하지 않았다.
대만 유사시 미국의 진정성이 시험대에 오른다.동맹관계에 없는 나라를 미국이 정말 미군을 투입해 핵보유국과 전쟁을 벌이는지 다.
경제제재에 대해 영토침략을 포기할지는 불투명하다.영토 확장은 반영구적 이익이고 경제제재는 단기적이고 이후 관계 회복은 여러 채널에서 가능하니 딜로 이뤄질 수 있을까.
2014년 크림 병합에서도 러시아는 경제제재를 받고 있다.
우크라이나 진공은 푸틴 대통령의 결단 하나라고 합니다.우크라이나는 러시아에 경제적 이익이 큰 지역이기 때문에 진공의 우려가 확산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