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항해시대와 세계의 변모와 일본식민지를 경험한 아시아에서 지지받고 신뢰받는 일본
2021-10-25
카테고리:아시아
랭킹 참여 중이에요클릭 응원 부탁드립니다.
노예화하지 않은 일제 강점기
세계사는 대항해시대를 맞아 크게 변모했다.아시아는 차례차례 서양의 식민지로 여겨져 착취당하고 노예처럼 취급되었다.그러나 반면 식민지화되었지만 경제적으로는 발전하여 적지 않은 생활이 향상되었다.
국내에서 백인과 원주민의 권리 차이가 역력한 가운데 생활은 전체적으로 향상된 측면이 있다.아시아 국가들로부터 왜 일본이 지지를 받고 있는가 하면 일제 강점기 일본은 아시아인을 노예화하지 않았다는 점과 근대 국가를 자신의 자국민의 힘으로 건설하기 위해 필요한 일체를 그 나라에 대해 교육한 것이다.
다시 돌아온 유럽 열강
이로써 제2차 세계대전 종전 후 일본 철군 후 말레이시아로 돌아와 다시 식민지화를 시도한 영국은 일제강점기 이후 말레이시아가 과거 말레이시아가 아니었다고 표현하고 있다.
그리고 이전에는 무저항으로 식민지가 되어 간 아시아 국가들은 용맹과감하게 일어나 유럽 열강과 싸워 차례로 독립을 쟁취해 나갔다.
아시아의 대부분은 일본에 감사하고 있다
유럽의 식민지로 지목된 아시아 국가들은 유럽에 대해 사과 요구 등을 하지 않는 것은 물론 일본에 대해서도 하지 않는다.이는 스스로가 전진하고 있다는 실감을 얻느냐의 차이이며 당사자 의식이 있느냐의 문제이기도 하다.그런 의미에서 한국은 아시아 국가들 가운데 특수한 전후관을 갖고 있다.
랭킹 참여 중이에요클릭 응원 부탁드립니다.
[관련 기사]
아시아 해방 전쟁인 대동아 전쟁 일본 통치에 의한 근대화의 성과는 아시아 각국의 독립 콜럼버스: 아메리카 대륙 발견 1492년
바스코 다 가마: 희망봉 도달 1488년
동인도 회사 설립 1600년
수에즈 운하 1859년(건설개시) 1869년 완성
시베리아 철도 1850년(건설 개시) 1902년(1부 제외 완성), 1904년 완성
백인의 아시아 식민지화 움직임은 1600년부터 본격화되고 있습니다.아프리카 최남단의 희망봉을 돌아 아시아에 이르는 항로를 이용했습니다.아시아의 향신료, 물산을 유럽으로 가져가서 장사를 하기 위해서입니다.
그동안 아시아와 무역을 할 때는 이슬람권의 중개를 거쳐야 했고 직접 아시아로 가는 방법 를 모색해 왔습니다.그리고 아시아의 서남부에서 차례차례 식민지화가 진행되었고, 그리고 중국도 차례차례 조차되고 있습니다.
수에즈운하 개통 로 더욱 접근하기 쉬워진 것은 아시아 식민지화에 큰 기여를 했습니다.
수에즈 운하는 아프리카 남단을 우회하지 않아도 되는 숏컷 운하입니다.시베리아 철도는 극동아시아를 식민지화하기 위해 부설되었습니다.
러시아는 입지적으로 항로가 아시아까지 가장 멀고 겨울에는 항구가 얼기 때문에 육로로 아시아를 식민지화할 계획을 세웠습니다.
시베리아 철도의 최종 목적지인 블라디보스토크는 한반도와 코앞입니다.이 움직임이 러일전쟁의 전제조건이 됩니다.시베리아 철도가 완공된 1904년은 러일 전쟁 중입니다.거기에 발틱함대가 입항할 예정 였습니다.
일본에서 보면 당시 아시아 국가들은 아무런 저항도 하지 못하고 서양의 노예가 되어 간다.각국이 독립자존을 유지하면 이렇게 되지 않는다.왜 서양에서 가장 먼 섬나라인 일본까지 백인이 오느냐는 것입니다.
중간에 나라가 제대로 작동하고 있다면 그렇게는 안 됩니다.즉 아시아 각국의 독립자존이 아시아 국가를 서양으로부터 보호하고 결과적으로 일본도 보호받게 된다.
당시 아시아에서는 각국이 협력하여 싸운다는 개념조차 존재하지 않았습니다.오히려 몸집이 큰 백인과 싸우는 것을 상상해 본 적조차 없었습니다.
아시아 동맹을 결성하다.바로 그 생각이 대동아공영권 구상입니다.일본은 싸우기로 선택했습니다.차례차례 백인 세력을 격파하고 근대 문명의 전파를 아시아 여러 나라에 실시해 갑니다.
대동아전쟁이란 아시아 국가들을 백인식민지 지배로부터 해방시키고 국력을 부여하는 것이었습니다.
일본이 통치한 아시아 제국에는, 나라를 만들기 위한 골조로서 정부 운영이나 행정의 역할, 조세에 대한 생각, 군비, 교육 제도등을 도입해 갔습니다.
백인의 식민지 지배는 그런 일을 하지 않습니다.노예가 지식을 얻기 시작하면 무기 사용법을 익히면 국가 운영을 위한 지식을 얻게 되면 어떻게 될까요?식민지 지배에서는 이러면 안 돼요.
식민지 경영은 군민이 살 수 있는 것만 주고 아침부터 저녁까지 일하게 하면 되잖아요.
일본이 영원히 통치할 생각이었다는 의견이 있지만, 일본 통치하의 각국의 발전에 대해 합리적으로 설명할 수는 없을 것입니다.
4세기에 걸쳐 백인의 지배하에 있던 말레이시아나 인도네시아, 그 외의 나라 백인의 식민통치 실태를 보면 분명합니다.
일본 통치하에 가장 먼저 들어간 대만은 통치기간이 50년에 달하지만 위안부문제 등 기타 소송문제, 현재 일체의 마찰에 대해 존재하지 않습니다.일본의 대만 통치에 대해 전후 일본, 대만의 우호 관계에 대해 알아보는 것도 좋을 것입니다.
세계대전은 세계사의 관점에서 보지 않으면 아무것도 보이지 않습니다.적어도 A.C1600년 까지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한일 역사만으로는 한 장소를 돌아다니고 있을 뿐입니다.
말레이시아 백인 식민지 : 1511-1941 (430년) 일제 강점 : 1941-1945 (4년)
싱가포르 백인 식민지: 1511-1942 (431년) 일제 강점 : 1942-1945(3년)
인도네시아 백인 식민지:1602-1942(340년) 일제 강점 : 1942-1945(3년)
필리핀 백인 식민지: 1565-1946(381년) 일제 강점 : 1942-1944 (2년)
베트남 백인 식민지: 1887-1945(58년) 일제 강점 : 1940-1945 (5년)
브루나이 백인 식민지: 1888-1941 (53년) 일제 강점 : 1941-1945 (4년)
라오스 백인 식민지 : 1893-1949 (56년) 일제 강점 : 1940-1945 (5년)
캄보디아 백인 식민지: 1863-1953(90년) 일제 강점: 1941-1945(4년)
미얀마 백인 식민지: 1824-1937 (113년) 일제 강점 : 1942-1945(3년)
동티모르 백인 식민지 1515-1975(460년) 일제 강점 : 1942-1945(3년)
인도 백인 식민지: 1858-1947(89년)
대만 백인 식민지: 1624-1662(38년) 일제 강점 : 1895-1945 (50년)
한반도? 백인 식민지: 0년 일제 강점: 1910-1945(35년)
참고:
흑인 노예 무역 1441-1865(424년)
사상 최대 침략: 아메리카 대륙 인디언 6,500만 명 학살 1492-1917 (425년) (나치 유대인 학살 580만 명)
일본통치를 경험한 아시아 국가들은 국가의식을 가지고 국력을 기르고 종전 후 돌아온 유럽 국가들과 싸워 차례차례 독립을 쟁취해 나갔습니다.
중소득국 함정 TPP 온갖 수단을 동원해 일본 제품을 보이콧하는 한국
신흥국이 부딪치는 1만달러의 벽
자유경제가 경제발전의 전제
No Japan 운동은 민간에 의한 놀라운 규제
No Japan에서 한국 제품이 팔리나
중국,한국은 TPP 가입조건을 충족시키지 않는다
국내 경제가 규제투성이라면 의미가 없다
중산층 국가가 반드시 부딪힌다고 하는 '중소득국 함정(1만달러 함정)'이라는 것이 있다.신흥국이 경제성장을 해도 국민소득이 연 1만달러를 넘어선 단계부터 성장할 수 없다는 것이다.
원인은 인건비 급등으로 국제경쟁력이 둔화되거나 자본주의 민주주의를 전제로 유효한 투자를 얻지 못할 경우 1인당 GDP는 1만달러를 넘지 않는다는 것이다.
중국은 바로 이 1만달러를 조금 넘은 상태지만 이 벽에 직면해 있다.지금까지 1만달러를 돌파한 나라라면 일본 한국 대만 싱가포르 정도일까.
중국의 경우는 국가에 의해 특정 산업에는 큰 자금이 투입되지만, 그 이외의 산업에 파급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장벽이 있다.사회주의 국가, 독재 국가에 있어서는 경제 파급 효과는 부분적, 한정적이 된다.
한국의 No Japan 운동에 따른 경제효과란 일본 맥주가 팔리지 않았을 경우 한국 맥주가 그만큼 팔리고 있는지를 볼 때 어떻게 될까.
또 하나는 수입품을 포함한 맥주시장의 유지 또는 증가 여부.만약 감소하고 있다면 경제적인 마이너스 이외에는 아무것도 아니다.
유니클로의 매출 감소가 TOP10(한국의 의류 기업) 등으로 100% 이행하고 있는 것일까.만약 모두 이행하지 않았다면 경제에 부정적일 수밖에 없다.
No Japan 운동은 제도적인 규제는 아니지만, 어쨌든 규제도 억압도 경제에 있어서는 전혀 의미가 없다.
한국도 중국도 TPP 가입을 목표로 하고 있는 것 같지만, TPP는 국내외에 있어 자유 무역, 자유 경제를 전제로 하고 있다.중국은 사회주의에서 논외지만 한국도 국영기업이 많다.
자유무역협정을 맺어도 그 열매는 국내 기득권에 빨려 들어가 어디선가 경제발전에 기여하는 순환이 끊어지고 만다.
무엇보다 입구만 자유화해도 국내에 있어서의 규제에 의해서 일본 제품의 경쟁력이 약해지는 규제가 있다면, TPP 안에서 무역을 해도 일본에 있어서 의미가 없다.
여전히 중국도 한국도 후쿠시마산 농산품 수입 금지를 하고 있지만 명확한 과학적 근거 없이 선정적으로 규제하고 있다.무엇보다 한국은 전일본 상품을 보이콧하려는 것이다.
대만은 TPP 가입을 위해 후쿠시마산 농산품 규제를 해제했습니다.단지 TPP에 계속 들어가고 싶다고 말하면 넣는 것이 아닙니다.
카슈미르 지역 인도군 증원 인도가 중국 국경 부근에 병사 5만 명 증원(전년 대비 140%).인도는 움직임이 빠르네.G7에 참가하고 바로 대응.
동남아시아에 있어서 일본은 가장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한국은 선택될 가능성이 가장 낮은 나라
일본과 한국의 동남아시아 파트너십 제공 방식에는 큰 차이가 있습니다.2020년 조사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지역 정책 입안자들은 일본을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안보 파트너로 간주했고, 한국은 나열된 7개의 선택지 중에서 선택될 가능성이 가장 낮은 나라였습니다.
한국의 외교정책은 역사적으로 한반도와 그를 둘러싼 강대국 간의 정체된 분쟁 속에서 갇혀 있었습니다.한국은 베트남 전쟁에 참가했지만, 이 지역에 대한 한국의 관여는 주로 미국의 보조적인 것에 한정되어 있었습니다.동남아시아에서 일본의 역사적 영향은 훨씬 컸다.
일본은 직접적인 방위 협력을 실시할 수는 없지만 동남아시아 국가에 관여하기 위해 정곡을 찌른 지원을 이용해 왔습니다.
예를 들어, 일본은 동남아시아 국가의 연안 경비대의 능력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춰 왔습니다.일본 연안 경비대의 건설과 기술 지원 노력은 동남아시아 국가들이 중국에 대해 해사 클레임을 집행하는 능력을 향상시킵니다.
한국도 동남아시아에 영향력을 발휘하려고 지원하고 있지만 중국의 눈치만 보고 있습니다.
동남아의 전략적 이익에 대해 중국과의 갈등을 피하려는 한국의 시도는 안보 파트너로서의 한국에 대한 열의를 북돋우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역설적이지만 동남아시아 정책 입안자들이 한국과의 안보 파트너십에 부정적으로 기울고 있는 이유를 이해하기 위한 중심인 것으로 보입니다.
일본은 특히 중국에 관해 동남아시아 국가들에게 민감한 문제를 제기하기 위한 이정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이 점에서 안전보장 파트너로서의 일본은 점점 영향력이 증가하는 중국과의 관계에서 동남아시아 여러 나라에 매우 구체적인 이익을 제공합니다.
일본은 일본 입장에서 오랜 역사상의 관계를 바탕으로 할 수 있는 일을 해 나갈 뿐입니다.한국과는 신뢰가 다르다는 것을 동남아시아 자신이 보여주고 있습니다.
2022년 필리핀 대통령 선거는 남중국해의 균형을 바꿀 것인가.그것은 또한 대만 총통 선거에 영향을 준다
두테르테 대통령과 친밀한 두 사람이 출마
미국과 거리를 두고 중국에 침략당하다
남중국해에는 일본과 공통된 대만
2022년 5월 필리핀 대통령 선거는 주목된다.대통령 후보로는 페르난도 마르코스 전 대통령의 아들인 봉봉 마르코스 상원의원이 입후보했고 현 도테르테 대통령의 딸인 로드리고 두테르테는 부통령에 출마 의사를 밝혔다.둘 다 두테르테 대통령과 가까운 사이로 당선 전 콤비를 결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두테르테 대통령은 딸이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고 자신은 부통령에 출마할 뜻을 밝혔으나 비판을 받아 단념했습니다.
두테르테 대통령은 반미적 정책을 취하고 미군 지위 협정을 파기하겠다고 하거나 보류하는 등 미군을 배제하는 정책을 취했다.
중국에 접근했지만 남중국해에서는 100척 이상의 중국 선박이 며칠째 대기하며 위협을 거듭해 , 이 해역을 보내라고 해 왔다. 아무것도 할 수 없는 두테르테를 국민이 나약하다고 비판한 후의 선거가 된다.
페르난도 마르코스 전 대통령은 친미 노선이자 계엄령을 내린 인물로 유명하다.
아들 마르코스가 어떤 방침인지가 아직 일본에서는 보도되지 않고 있다. 필리핀이 2022년 대선 이후 정책을 전환하고 쿼드를 비롯한 자유주의 국가들과의 공조를 표명할 경우 2024년 대만 총통선거에도 영향을 미친다.남중국해는 대만 필리핀 베트남이 둘러싼 바다이기 때문이다.중국은 필리핀에도 선거 간섭을 시작했다.
현재 대만이 열쇠가 되는 나라라는 것은 일본에서 보면 일본의 영해를 지키는 것과 동시에 남쪽에서는 남중국해의 중요한 나라가 되고 있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