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베 전 총리의 대만 강연.중국 화춘잉 외무성 부상보는 맹반발.왕문빈 대변인은 머리를 부딪혀 피를 흘린다.
2021-12-03
카테고리:대만
랭킹 참여 중이에요클릭 응원 부탁드립니다.
대만 유사시 일본 유사시 아베 발언에 중국은 맹반발.
아베 신조 전 총리가 12월 1일 대만의 초청에 응해 온라인 강연에서 대만 유사시는 일본 유사시 등의 발언을 한 데 대해 화춘잉 중국 외무성 부상보는 1일 밤 다루히데오 주중 일본대사를 불러 엄정한 제의를 했다.
화씨는 극히 잘못된 발언으로 중국 내정에 난폭하게 간섭한 라고 맹반발했다.중국 외교부의 발표에 의하면, 화씨는 「공연히 중국의 주권을 도발해, 강경하게 「대만 독립」세력을 지지했다」라고 비난.그는 대만 독립세력에 어떤 잘못된 신호도 발하지 말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반박하는 주중 일본대사
주중 일본대사관은 다루 내정자가 정부를 떠난 인사(아베)의 발언 하나하나에 대해 정부 차원에서 설명할 입장이 아니라는 점, 대만을 둘러싼 상황에 대해 일본이 이런 견해를 갖고 있음을 중국으로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그는 중국측의 일방적인 주장에 대해서는 받아들일 수 없는 라고 반박했다.
MEMO 이번 주중대사의 대응은 의연하고 조리있는 반론을 하고 있어서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일본 유사시에 대한 우려는 내정간섭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 온라인 교류회는 기간 한정 공개였는지 현재는 시청할 수 없다.시청 가능할 때 다 봤는데 아베 전 총리는 대만 유사시는 일본 유사시라고 했으니 내정 간섭에 해당하지 않는다.일본 유사시를 언급했을 뿐 다.
왕원빈 대변인은 중국 인민의 선을 넘으려고 도전하는 자는 누구든 반드시 머리를 부딪혀 피를 흘리게 된다고 표현했지만 어디에 머리를 부딪힐지도 불분명하다.
중요한 포인트를 무시하는 중국
그리고 이 교류회 안에서는 중국이 잘못된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을 막는 것이 중요하며, 규칙에 근거한 중국의 발전을 설득할 책임이 일본에 있다 라고 아베는 발언했다.
일본 유사시의 문제보다 이쪽이 내정에 깊이 들어간 발언이지만 중국은 전혀 언급하지 않고 있다.중국은 아베 전 총리의 영향력을 상당히 경계하고 있고 반대로 머리를 부딪혀 피를 흘린다는 이상 구체적인 대항수단을 강구하지 않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POINT 중국 메시지는 그대로 받으시면 안됩니다.자신에게 불편한 내용은 전혀 언급하지 않고 강한 자세를 보이는 것처럼 보입니다.
랭킹 참여 중이에요클릭 응원 부탁드립니다.
[관련 기사]
대만 민주화의 원동력은 일제 강점기 교육에 있었다고 답한 리덩후이 총통
대만의 민주화는 1996년, 한국은 1987년이니 대만은 9년 늦게 첫 총통 선거가 치러져 리덩후이 총통이 선출됐다.
리덩후이 총통은 민주화를 향한 이유에 대해 "대만 사람들에게 베개를 높이 눕혀주고 싶었기 때문이다"라고 답했다.전후 일본 통치를 떠나 대만을 통치한 것은 장제스가 이끄는 중국 국민당의 중화민국이었다.
중화민국 정부는 대만은 일본 통치의 고통스러운 시대를 마치고 조국의 품으로 돌아갔다고 전했다.타이베이 교외의 기륭항에서 상륙하는 중화민국 병사들을 대만 사람들은 모두 환영했다고 한다.
청일전쟁 후 시모노세키조약 이후 50년간 대만은 일본통치하에 들어와 제2차세계대전을 일본으로서 경험했습니다.
그러나 영접한 사람들은 병사들을 보며 얼굴빛을 바꾸었다.그때까지 낯익은, 세트의 군복으로 정연하게 대열을 지어 다니는 일본의 병사와 비교하면, 너무 초라했던 부터다.
배에서 내려온 이들은 저울 막대를 메고 옷을 입은 채로 왔다고 한다.곧 제멋대로인 중화민국 정부의 부패가 만연해 228사건이 벌어진다.일본 시대를 그리워하는 사람들이 폭도로 변했고 진압 명목으로 중화민국 정부가 학살을 자행했다.이후 인류 역사상 최장이라는 38년 동안 계엄령이 내려졌고, 그 큰 사건 49년 만에 민주화를 이룬 셈이다.
228 사건은 중화민국 정부에 대해 일본 통치를 지지하는 대만인에 의한 폭동이었습니다.
리덩후이 총통이 하는 베개를 높이 눕혀주고 싶어서였다는 말에 집약돼 있다.
그러면서 민주화운동의 원동력이 뭐냐고 묻자 리덩후이 총통은 일본교육이야 .인간으로 태어났으니 공공을 위해 힘써라.그렇게 교육받아 왔구나."라고 답했고 대만 민주화의 원동력은 일제 강점기에 있었다고 답했다.
대만은 민주화를 이루고 리덩후이 총통의 뜻은 차이잉원 총통에게 계승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일본은 이웃나라로서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우크라이나를 미국은 구하지 않지만 대만을 미국은 구할 것인가? 우크라이나보다 더 복잡한 대만 귀속 문제
우크라이나 문제가 대만 문제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지, 중국의 대만 진공이 이뤄질 경우 미국은 대만 방어를 위해 미군을 파견할지 의문부호가 붙었다.
우크라이나는 어디에 속하는가, 우크라이나는 1991년 옛 소련으로부터 독립한 독립국가다.
대만은 독립적인가, 아니면 어디에 귀속되는가.
대만은 청일전쟁 이후 일본에 편입돼 일제 치하에 들어갔다.제2차 세계대전이 끝날 때까지 50년간 일본으로 존재해 왔다.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에서 대만은 반환된다.
어디로 반환되었는가 하면 불분명하다.
일본은 대만을 포기한다고 밖에 적혀있지 않은 것이다.
국공 내전 이후 중국 공산당이 중국 대륙을 지배하면서 중화민국 정부는 대만으로 도망쳤다.1949년 중국 공산당은 중화인민공화국을 건국한다.
이는 중화민국과는 별개의 정부로 출범하였다.
샌프란시스코 강화회의가 1951년이기 때문에 이 시점에서 국제사회는 어느 쪽을 정당한 정부인지 판단하지 않았고, 그 때문에 두 중국 정부는 강화회의에 참가하지 않았다.
유엔은 제2차 세계대전 전승국 연합으로 출범했다.
중국의 대표권은 중화민국이 상임이사국으로 갖고 있었으나 대표권을 중화민국과 중화인민공화국이 다투게 된다.
1971년 유엔 알바니아 결의에 의해 중국의 대표정부는 중화인민공화국으로 인정되었고, 중화민국은 유엔을 탈퇴 한다.
일본, 미국도 중화민국과 국교를 맺고 있었지만, 일본은 1972년 중일 국교정상화로 중화인민공화국과 국교를 맺고 중화민국과의 국교를 단절하였다.
미국은 1971년 닉슨 대통령의 전격 방중 이후 1979년 중국과 수교하면서 대만과의 수교를 단절했다.
현재 중국은 대만은 일본이 포기했으니 중국 것이라고 주장한다.그러나 유엔에서 열린 알바니아 결의는 어디까지나 대표권의 문제일 뿐 대만의 귀속을 결정한 것으로 해석할지는 이견이 많다.
대만은 중화민국에 반환되었다면 중화민국은 현재의 대만이 된다.그래서 대만은 중화민국을 계승하는 나라는 대만임을 주장하고, 중국은 중화민국을 계승하는 나라는 중화인민공화국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이쯤 되면 전혀 의미를 알 수 없게 되는데 결론을 말하자면 우크라이나의 독립성이 훨씬 간단하다는 것이다.
대만 문제는 미일 기타 국교를 맺고 있지 않은 나라가 대다수이며, 유엔을 중심으로 대만의 귀속 문제는 국제사회 속에서 모호한 채 진행되어 왔습니다.
미국이 대만의 국제기구 참여에 힘을 실어준다 미·대 고위 관계자가 대만의 국제 기관에의 참가를 뒷받침하는 협의를 실시했다고 밝혔다.시진핑과의 전화통화 내용에서 반전된 움직임으로 보인다.중국이 말하는 하나의 중국 원칙과 미국이 말하는 하나의 중국 정책은 내용이 다르다.
하나의 중국 정책과는 구니공식, 3개의 커뮤니케이션, 6개의 보증으로 구성되어 모호한 대만 관계법이 고립된 상태였다.여기서 공통적으로 빠진 것은 미국의 입장이다.모든 것에 있어서 미국은 개입할 수도 있고 개입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번 대만의 국제기구 참여를 뒷받침하겠다는 발표는 이들을 크게 전진시키는 것으로 바이든 당선인이 전화통화에서 시진핑과 얘기했던 내용을 크게 바꾸는 포인트가 된다.대만의 국제기구 참여는 실질적인 대만의 국제 승인으로 이어진다.
차이잉원 총통은 왜 교토 타치바나 고등학교를 쌍십절에 초대했는가 - 후대에 맡긴 대만의 미래.
대만이 열광한 교토 타치바나 고등학교
일본의 국방과 대만해협 문제는 불가분
대만의 민주화는 가장 최근의 일
다음 선거에서 중국으로 삼킬 위험
일본은 민주주의의 가치를 전하라
교토 귤고등학교 취주악부(오렌지 악마)가 왜 대만 건국기념일 기념식에 초청받았는지 차이잉원 총통은 2024년 총통 선거를 내다보고그때 선거권을 가진 다음 세대를 향한 강렬한 메시지를 교토 타치바나 고등학교에 맡긴 것처럼 보인다.지난 대만 총통 선거에서는 압도적 열세 속에 차이잉원 총통은 역전승했다.그 요인은 젊은 층이 투표장으로 향했기 때문이라고 대만 민진당 자체가 분석을 하고 있다.대만 젊은이들에게 민주주의에 대한 가치관이 생기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일본은 일본의 국방을 더 진지하게 생각해야 한다.그중 대만해협은 일본의 국방과 불가분의 문제로 여기는 데 이견이 없다.그러기 위해 필요한 것은 미일관계 강화와 헌법 개정 논의다.하지만 그것만으로 될까.
대만이 민주화된 것은 1996년 총통 직선제가 계기로 꼽힌다.얼마 전 돌아가신 리덩후이 전 총통에 의한 것이다.그 후 순풍만호에 대만은 민주화의 길을 걸었을까.차이잉원 총통 이전 마잉주 전 총통 때는 중-대 분단 이행 첫 정상회담이 개최됐다.그곳에서는 마잉주 전 총통과 시진핑이 회담을 하고, 구니공식이 재확인되면서 하나의 중국 원칙으로 되돌아갔다.그것은 2015년의 일이다.
이처럼 대만은 민주주의 국가로서 젊은 나라지만 힘차게 성장하려 하고 있다.2024년 총통선거에서 민진당이 지는 일이 생기면 대만은 몇 안 되는 아시아 민주주의 국가로서 다시 웃는 일이 없어질지 모른다.시진핑은 대만 총통 선거에 모든 방법으로 개입해 올 것이다.
일본이 할 수 있는 일은 많이 있다는 것을 교토 타치바나 고등학교는 보여줬다.그것은 대만 젊은이들에게 민주주의의 길 끝에는 자유로운 사람들이 꿈을 실현하는 세계가 있음을 다양한 콘텐츠를 통해 보여주는 것이다.대만은 일본을 민주주의 선배로 생각하고 있다.그것을 주로 담당해야 할 일본 언론은 중국에 좌지우지되는 모양이다.
일국양제와 역대 대만 총통의 사고방식 추이 - 중국 대표정부를 다투던 과거
하나의 중국이란 정통정부가 어디인가 하는 문제
엎치락뒤치락해 온 일국양제도
차이잉원 총통은 일국양제도를 인정하지 않는다
대만 헌법에는 손문의 유교에 의거라고 기재
헌법 개정과 독립론
원래 하나의 중국이라는 개념은 병합론이 아니라 중국 본토 영유권의 문제이며,중국 정통정부가 중국 공산당이냐 국민당이냐 하는 문제였다.장제스는 중화민국이 중국 전역의 정통 정부임을 주장했고 마오쩌둥은 중국 공산당이 중국 정통 정부라고 주장했다.장제스는 미일에서 두 개의 중국 주장 변경으로 유엔에 머물러야 한다는 설득을 거부했고 대만(중화민국)은 유엔을 탈퇴했다.이것이 모든 것의 시작일 것이다.
장경국은 일국양제, 리덩후이 시대도 일국양제였으나 1999년 리덩후이 총통이 특수한 나라와 나라의 관계라는 표현에 따라 비로소 두 나라라는 개념이 나온다.천수이볜 시대는 일변일국으로 대만해협을 사이에 두고 양쪽 나라는 다른 나라라고 표현했다.마잉주 시대에는 1992년의 구구공식(하나의 중국 개념을 인정하면서 해석이 다르다는 것을 서로 인정한다는 합의)을 유지하겠다고 표명.여기서 하나의 중국으로 되돌아간다.
차이잉원 총통은 구니공식을 인정하지 않겠다며 현재에 이른다.구니공식을 인정하지 않는다면 일국양제도를 인정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서로의 해석도 인정하지 않는다는 데로 돌아가는데, 이는 중국에 대만의 주권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생각에 이용된다.
대만 헌법을 보면 고민스럽다.헌법 전문에는 중화민국을 창립한 쑨 중산 선생의 유교에 의거해라고 적혀 있다.우리 헌법에서도 말할 수 있겠지만 헌법은 국내법의 원점이 되는 법률이므로 무엇인가를 인용해서는 안 된다.
앞으로 차이잉원 총통이 어떤 길로 갈지는 모르지만 헌법 개정을 포함해 역대 총통의 해석을 거의 모두 뒤집어야 한다.너무 힘든 일이지만 성공하길 바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