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일국 대만 계엄령 하에서 잃어버린 38년
2021-04-25
카테고리:대만
랭킹 참여 중이에요클릭 응원 부탁드립니다.
대만이 처음부터 친일이었냐면 그런 건 아니다.대만을 통치하러 온 국민당은 중일전쟁에서 일본과 싸운 상대로 반일교육이 이뤄지고 있다.이른바 외성인에 의한 반일교육이다.1947년 본성인과 국민당은 2.28 사건으로 충돌한다.이때 2만명에서 3만명의 본성인이 학살당했다.1949년 시작된 계엄령은 1987년까지 이어져 38년간 지속된다.장제스의 아들 요징궈가 사망하고 리덩후이 총통이 탄생하면서 대만의 민주화가 시작된다.리덩후이 전 총통은 일제 강점기를 잘 알고 교토제국대학에 진학한 친일인으로 알려졌다.
오랜 국민당의 압정에 시달리던 본성인들은 일제 강점기를 그리워했고 민주화가 시작되면서 공개적으로 친일을 공언하게 됐다.
이런 흐름을 보면 한국에서 민주화는 계기가 되지 못했다.민주화 이후에도 반일사고 강제를 사회적 차원에서 하고 있기 때문이다.민주화돼 사상 언론자유가 확보돼도 언론탄압이 계속되고 있다.
랭킹 참여 중이에요클릭 응원 부탁드립니다.
[관련 기사]
역사를 보면 대만보다 한국이 중국과 밀접한 관계
대만이라는 나라는 솔직하고 위험을 무릅쓰고 중국과 대치한다.순수하게 민주주의의 나라로 남고 싶다.그러기 위해서는 중국에 경제적으로나 정치적으로 내포되어서는 안 된다.
대만의 역사를 볼 때 네덜란드 통치, 정씨 통치, 이는 화인 통치이긴 하지만 정성공은 명나라 잔당 해적이자 청조에 반목하는 세력이다.이후 200여 년간 청조에 의한 통치를 받는데, 원래 대만은 원주민들이 살았던 섬이다.
1871년 대만에 표착한 일본 미야코 섬 주민 54명이 살해되는 사건이 발생했다.이 사건에 대해 청조는 대만인은 화외의 백성으로 청 정부의 책임 범위가 아닌 사건이라고 답변했다.
즉 대만은 중국 문화 밖의 사람들이지 통치하지 않는다고 한 것이다.이에 따라 일본은 대만으로 출병하고 있다.
청 왕조는 이때 대만은 중국과는 무관한 나라라고 분명히 말하고 있습니다.그로인해 일본은 대만으로 출병했습니다.
청일전쟁 이후 일본은 대만의 통치권을 얻지만 청조에게는 어느 쪽이든 좋은 섬을 거래했다는 것이다.
일본이 철수한 뒤 중국 국민당에 2·28 사건으로 반발해 곧바로 폭동을 일으키고 있다.그리고 지금은 차이잉원 총통을 필두로 대만의 국제 승인을 위해 거침없는 정책을 추진한다.
대만은 중국과 문화 민족적으로도 가깝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민족적으로나 역사적으로나 그렇지 않다.오히려 한반도가 역사적으로 중국과 가까운 존재로 보인다.
한반도는 1000년 동안 중국의 책봉체제 아래에 있었고 속국이었다.그리고 스스로를 샤오중화(小中華)라고 독자적인 명칭으로 불렀다.
대만은 원래 대만이었고 중국과의 관계성도 희박했다.오히려 한반도가 중국과 관계가 깊다.
대만 지방선거 언론 편파보도 - 국민당이 대승한 듯한 인상조작.
대만 지방선거에 대한 일본의 보도는 너무 편파보도로 섬뜩하다.우선 민진당이 대패라고 각사를 전하고 있다.결과는 22개 현·시장 선거 중, 민진당 7→5, 국민당 14→13, 대만 민중당 1→1, 무소속 0→2가 되고 있다.
즉 민진당이 수를 2줄인데 반해 무소속 후보가 2개 늘렸고, 국민의당은 증감 없음이다.그래서 언론이 크게 클로즈업하고 있는 것이 타이베이 시, 타오위안 시장 선거인데 타이베이 시의 현직 시장은 대만 민중당이라는 제3극이며 이번 선거에서 장제스의 증손자가 승리했다는 것인데 원래 타이베이 시는 민진당의 아성이 아니다.이번 선거에서 뺏으러 갔더니 미치지 못했다는 결과다.
다음으로 타오위안시에 대해서는 흥미롭다.이곳은 현실적으로 민진당은 국민의당에 의자를 내준 셈이지만 현직 시장은 민진당 정문찬 씨이며 이 인물은 차기 총통선거에 출마할 것으로 예상되는 인물이다.이 지반을 민진당 후보자가 물려받으려 한 셈인데 이곳은 국민의당에 패배했다.
결과적으로 민진당은 총 2개의 의자를 잃은 셈이지만 이번 차이잉원이 당수직을 사퇴한 것은 어차피 2024년 총통선거에 출마할 수 없는 셈이어서 선거대책으로는 좋은 시기이기도 하다.다음 민진당 당수야말로 주목할 점이라는 얘기다.
이를 상징적인 타이베이시, 타오위안시를 거론하며 국민당이 대승을 거둔 듯한 인상조작을 벌이는 듯하다.
교토 타치바나 고등학교가 실시한 일본 - 대일 교류가 총통 선거에 영향을 미칠까 - 아베 정권 이후 대만
교토 타치바나 고등학교가 대만 쌍십절에서 압권 퍼포먼스를 한 것이 2022년 10월 10일.대만 총통 선거는 올해 1월 13일입니다.대만에서는 2022년 3월에 선거권이 18세 이상으로 인하되었습니다.이것은 총통 선거를 미리 상정한 이벤트가 됩니다.당시 고등학생이었던 대만 학생들은 18살이 넘었을 거예요.
그런 의미에서 이는 아베 전 총리가 해온 대만 개입.민주주의적 가치감 교류를 전면에 내세워 젊은 세대에게 충분히 어필하는 전략입니다.바이든 행정부가 '하나의 중국 정책'의 유지를 표명한 이래 개인적으로는 이러한 시점에서 대만에 대한 일본의 민주주의적 개입에 대해 알아왔습니다.바이든 행정부의 방침은 오래전부터 '하나의 중국 정책'을 유지하고 대만에서 민주주의에 의해 선출된 대표와 대화하도록 중국에 주문하는 데 그쳤습니다.즉 쟁점은 이 시점에서 2024년 대만 총통 선거가 되기 때문입니다.
이 행사는 유감스럽게도 아베 전 총리가 암살된 후 기시다 정권에서 열렸습니다.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전 총리는 당수 토론에서 대만을 '국가'라고 표현했습니다.도쿄 올림픽 개회식에서는 차이니즈 타이페이가 아니라 '대만'이라고 그 친중이라고 불리는 NHK에 안내 방송을 시켰습니다.타카이치사나에 의원은 총재 선거 도중 차이잉원 총통과의 원격 회담을 가졌습니다.이것들은 대만에서는 크게 보도되고 있습니다.유감스럽게도 기시다 정권에서는 이 '오렌지 악마'의 퍼포먼스 이후 주된 움직임을 보이지 않고 반대로 시진핑의 비위를 맞추는 데만 전념해 온 것으로 보입니다.
그리고 총통 선거는 이제 일주일 남짓 후입니다.중국은 다양한 공갈과 협박을 대만 총재 선거를 위해 실시해 오고 있습니다.중국이 대만을 침공할 경우 전장에서 싸우는 것은 너희 젊은이들이라는 동갈입니다.이것이 중공의 이치입니다.대만 해협은 일본의 생명선이 되는 중동에서 온 석유 유조선이 통과하는 실레인입니다.국민당이 승리할 경우 대만해협은 중국이 장악하게 됩니다.기시다 정권은 도대체 이에 대해 무엇을 해 온 것일까요.
크림 문제로 보는 대만 문제.대만의 독립선언은 어떻게 달성될 것인가.
크림 문제가 대만과 조금 비슷한 점은 우크라이나가 친서방 정책으로 전환하려 하자 러시아가 강력한 압력을 가해 자원 공급 등으로 제재를 가하는 등 동유럽 진영에 머무르려 했다는 점이다.
결과적으로는 친러시아 정책을 추진하려는 야누코비치 대통령에게 반발한 시위대가 무력충돌을 일으켰고, 대통령은 실각, 러시아 망명 즉시 러시아군이 크림반도를 침공해 마치 민주적 절차인 것처럼 주민투표를 실시해 크림공화국으로서의 독립과 러시아 편입을 결정하고 말았다.
이때 서방 국가들은 비난과 경제제재 정도만 할 수 있었지만 구속력은 없지만 유엔에서는 러시아의 크림 편입을 허용하지 않는 결의안이 통과됐다.
갑작스러운 러시아의 무력 침공에 서방 국가들은 아무것도 할 수 없었습니다.유엔 결의라고 해도 구속력이 없습니다.
중국이 이 방법으로 대만을 침공해 주민투표를 실시해 중국 편입 시나리오는 어떨까.주민투표를 하면 독립이 되고 만다.따라서 중국군의 지배하에 의한 주민투표 등은 모두 부정투표가 될 것이다.
다만 무력 침공 시 미국과의 전쟁이 되기 때문에 주민투표까지는 도달할 수 없다.반대로 미국이 이 방법을 사용하는 것은 어떨까.미군이 주둔한 가운데 독립 여부를 묻는 주민투표를 실시해 독립선언을 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대만의 독립은 중국은 전쟁을 의미한다고 하니 전쟁이 불가피할 것이다.대만이 독립을 선언하는 순간에 여러 나라가 독립 승인을 한다면 어떻게 될까.
국제 승인이라는 정의가 어려운 점은 어디까지나 양자 간 승인이라는 점이다.다만 대만이 독립국가로 있을 경우 중국의 침공은 타국에 대한 무력침공이 돼 유엔헌장 위반이 된다.
그래도 단기간 전투는 불가피하다.그 사이에 대만 독립의 국제 절차를 끝낼 수 있을까.
대만은 어느 하나의 타이밍,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독립을 선언하고 국제 승인을 받지 않으면 중국은 영원히 편입의 기회를 노리고 옵니다.
미국이 대만의 국제기구 참여에 힘을 실어준다 미·대 고위 관계자가 대만의 국제 기관에의 참가를 뒷받침하는 협의를 실시했다고 밝혔다.시진핑과의 전화통화 내용에서 반전된 움직임으로 보인다.중국이 말하는 하나의 중국 원칙과 미국이 말하는 하나의 중국 정책은 내용이 다르다.
하나의 중국 정책과는 구니공식, 3개의 커뮤니케이션, 6개의 보증으로 구성되어 모호한 대만 관계법이 고립된 상태였다.여기서 공통적으로 빠진 것은 미국의 입장이다.모든 것에 있어서 미국은 개입할 수도 있고 개입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번 대만의 국제기구 참여를 뒷받침하겠다는 발표는 이들을 크게 전진시키는 것으로 바이든 당선인이 전화통화에서 시진핑과 얘기했던 내용을 크게 바꾸는 포인트가 된다.대만의 국제기구 참여는 실질적인 대만의 국제 승인으로 이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