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의 존재 의의는 무엇일까.유엔헌장 전문에는 "기본적 인권과 인간의 존엄 및 가치와 남녀 및 크고 작은 각국의 동권에 관한 신념을 다시 한번 확인"이라고 적혀 있다.그 조직 안에 인권의식이 희박하다고 할 수밖에 없는 중국과 러시아가 상임이사국으로 존재하고 있다.
인권의식이 희박한 나라가 상임이사국
이 치명적 모순은 유엔은 전승국 동맹이기 때문이다.유엔은 이 상임이사국을 회원으로 한 가운데 유엔헌장 전문에 적혀 있는 이념, 그리고 이후 조문에 적혀 있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까.만장일치 상임이사회 원칙 속에서 인권의식이 희박한 나라가 두 나라나 거부권을 갖고 있는 것이다.
MEMO
국제연합은 제2차 세계대전 때 전승국에 의해 조직된 것입니다.
유엔의 표를 얻는 중국
중국 경제발전으로 얻은 이익의 일부는 AIIB를 통해 개도국 투자에 사용됐다.AIIB는 일대일로 정책을 추진하는 데 그 대상국에 거액을 대출하기 위해 중국이 설립한 것이다.실제로 행해진 것은 유엔의 표의 매수이다.유엔 회원국 193개국 중 아프리카 국가는 55개국이다.
이에 경종을 울린 것은 트럼프 행정부였다.현재 유엔은 중국 눈치만 보고 있다는 비판이 많다.일본은 패전국으로 유엔에 참가해 그동안 많은 돈을 지불했다.
전승국 동맹인 유엔
쿠마라스와미 보고서는 채택되지만 동남아시아 국가와 인도 등 많은 아시아 국가들이 일본 통치나 일본의 영향으로 독립국이 될 수 있었다는 증언은 일절 참고할 일조차 없다.한국은 일본을 인권위원회에 호소하면 늘 흔들어댄다.대만에 이르러서는 아직 유엔에 가입할 수 없다.일본은 유엔의 적국 조항 안에 쓰여진 감시 대상국의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
냉전구조하에서 유엔의 역할
그렇다고 유엔은 일정 정도 역할이 있었던 것은 사실일 것이다.냉전 시대에는 동서는 정치적으로나 경제적으로 단절된 상태였으나 유엔이 하나의 커뮤니티의 장을 제공하면서 회의장 대립 구조로 소화되는 효과가 있었다.지금 그게 어느 정도 필요할까?
동서국제교류가 있는 현재
러시아도 중국도 동서 국가도 무역을 하고 국가 간 교류가 있다.둘러보니 중국에 인수된 개도국과 중국이 많은 유엔의 표를 움켜쥐고 , 유엔헌장에 기록된 '기본적 인권'에 대해서는 중국 자신이 세계의 비판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이런 유엔이라는 틀이 필요할까.
자유주의 국가들에 의한 국제기구를
미일 EU 영연방에서 자금을 모아 새로운 국제기구를 만들어야 한다는 생각도 있다.일본은 인구 1억 2,580만 명, 미국 3억 2,950만 명, EU 4억 9,300만 명, 그리고 영연방은 무려 24억 1,896만 명이기 때문에 #ylow #세계 인구 78억 7,500만 명 대비 42.7%에 달한다 .
유엔 분담금 비율
유엔 분담금 비율은 2018년까지 일본은 미국 다음으로 유엔에 출연했으며 현재는 중국에 이어 세 번째다.중국은 현재 12%를 부담하고 러시아는 2.4%밖에 부담하지 않으니 유엔 출연금의 대부분은 미일 EU 영연방이 차지한다.
이것들이 다른 국제기구를 만든다고 해서 유엔을 이탈한다면 중국+러시아에서 현재의 14.4%밖에 남지 않는 . 나머지는 자유주의국가연합에 가입할지, 수상한 중국연합에 가입할지는 개도국이 스스로 결정하면 좋을 것이다.
POINT
유엔을 통해 정말 인권이 지켜질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일본은 오랫동안 미국 다음으로 유엔에 거출금을 지불해 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