젤렌스키는 나토 때문에 죽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음은 발트 3국 모두
2022-03-08
카테고리:우크라이나
랭킹 참여 중이에요클릭 응원 부탁드립니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3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제압하면 다음에는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에스토니아 등 발트 3국도 침공할 수 있다며 서방 국가들에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 지원을 강화해 줄 것을 호소했다.
7일에는 우크라이나 비행금지구역 설정 요구에 NATO가 가능성을 부인한 데 대해 그는 살해당하는 사람들은 모두 NATO 때문에 죽게 될 것이라고 발언한 바 있다.
발트 3국은 NATO 가맹국이다.북대서양조약 제5조를 살펴보다.
북대서양조약
제5조 체약국은 유럽 또는 북아메리카의 1 또는 2 이상의 체약국에 대한 무력공격을 전체 체약국에 대한 공격으로 간주하는데 동의한다.따라서 체약국은 그러한 무력공격이 행해진 때에는 각 체약국이 국제연합헌장 제51조의 규정에 의하여 인정되고 있는 개별적 또는 집단적 자위권을 행사하여 북대서양지역의 안전을 회복 및 유지하기 위하여 그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행동(병력의 사용을 포함한다.)을 개별적으로 및 다른 체약국과 공동으로 즉시 취함으로써 그 공격을 받은 체약국을 원조하는 것에 동의한다. 상기 무력공격 및 그 결과로 취한 모든 조치는 즉시 안전보장이사회에 보고하여야 한다.그 조치는 안전보장이사회가 국제의 평화 및 안전을 회복 및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한 때에는 종료하여야 한다.
이를 보면 NATO 회원국에 대한 공격은 NATO 전체에 대한 공격으로 간주해 집단적 자위권 발동을 행사한다고 명시돼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번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은 나토군이 러시아 국경 부근까지 진출할 우려에 대해 이를 꺼린 러시아가 일으킨 것이기 때문에 러시아는 나토와 전쟁이 나지 않는 환경을 조성하겠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러시아가 이 제5조가 발동될 것임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나토 가입 전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것이다.
NATO가 우크라이나에 들어오지 않겠다고 일관된 태도를 보이는 것과 비행금지구역 설정을 하지 않겠다고 한 이유는 집단적 자위권 발동을 통해 러시아와 NATO의 전면전을 피하겠다는 의도다.
러시아의 다음 타깃이 될 수 있다면 발트 3국이 아닌 흑해 주변의 비나토 회원국인 몰도바와 조지아일 것이다.
POINT 러시아는 흑해를 손에 넣기 위해 동남부 주들을 차례로 제압하고 있습니다.NATO 회원국에 대한 공격보다 흑해 주변의 비NATO 회원국이 위험에 처할 수 있습니다.
랭킹 참여 중이에요클릭 응원 부탁드립니다.
[관련 기사]
쿠바 위기에서 바라본 우크라이나 위기 쿠바는 보호받았지만 우크라이나는 고립되었다
1959년 카스트로에 의한 쿠바 혁명이 성공하면서 쿠바는 사회주의의 길을 걷기로 결정하고 사회주의 진영에 가담하게 되어 미국 자본은 추방되었다.
이에 1961년 아이젠하우어 대통령은 쿠바와 국교 단절을 했다.차기 대통령 케네디는 미국에 망명해 있던 쿠바인들을 편성해 쿠바를 침공시키고 카스트로 혁명정부 전복을 꾀했으나 실패했다.
이에 맞서 카스트로는 반미 자세를 강화해 소련에 접근했고 소련의 흐루시초프는 핵전력 배치로 대미 우위를 점하기 위해 쿠바에 핵미사일을 배치했다.
1962년 10월, 미 공군 정찰기에 의해 소련 미사일 기지가 건설 진행 중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사거리는 미국 전역을 뒤덮은 것으로 핵무기에 의한 미국 본토 공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었다.22일 밤 케네디 대통령은 TV연설을 통해 소련으로부터의 무기탄약, 핵무기 제조에 사용되는 물자 등이 반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 쿠바 주위 해역과 공역을 봉쇄할 것을 선언했다.
소련은 이미 물자와 무기를 실은 함선을 쿠바로 향하게 하고 있는 중이었다.미국에 의한 해상 봉쇄를 돌파하면 직접 충돌이 되고, 핵전쟁 위기가 닥치는 바로 일촉즉발의 상태에 빠졌다.
양국 정상은 물밑 협상을 거듭했고 흐루시초프는 미국이 쿠바를 침공하지 않는 대가로 미사일 기지를 철거하자는 제안을 케네디에게 전달했으며 10월 27일 합의가 이뤄지면서 핵전쟁 위기는 피했다.
우크라이나 위기와 쿠바 위기는 무엇이 다를까.
미러의 입장이 반대인 것이다.
사회주의 국가 건설을 목표로 소련에 접근한 카스트로와 민주주의 국가로 나토에 접근한 젤렌스키.이 역시 입장이 반대다.
그리고 찾아온 위기도 마찬가지인데 왜 그럴까.가장 다른 점은 전쟁 회피를 위해 케네디와 흐루시초프가 대화를 벌이다 아슬아슬한 선에서 회피됐다는 점이다.미국은 이번에는 당사자가 아니라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쿠바 위기는 미-러 대화에 의해 전쟁 위기가 회피되었습니다.우크라이나 문제에서 미국은 협상할 생각이 없고 우크라이나만 남겨졌습니다.
국제 해커 집단, 러시아 방송 해킹 - 우크라이나 침공 영상 방영 3월 7일 국제 해커집단 Anonymous가 러시아 국영 TV방송과 동영상 전송 사이트를 해킹해 우크라이나 침공 영상을 방영했다고 트위터상에서 밝혔다.
2월 25일에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할 경우 공개적으로 러시아에 선전포고를 하겠다고 한 집단이며, 이 해커 집단은 블라디미르 푸틴 정권을 염두에 두고 있다고 twitter상에서 밝힌 바 있다.
이번에 해킹당한 것은 러시아 스트리밍 서비스인 윙크, 아이비, TV 방송으로는 러시아24, 채널1, 모스크바24로 하고 있다.
이 해킹집단은 정보통제가 이뤄지고 있는 러시아 국민의 의식을 환기시키는 것이 푸틴의 폭주를 막는 수단 중 하나라고 호소하고 있다.
러시아는 러시아가 공항을 빌려준다면 참전국으로 간주할 것이라고 비난했다. 루마니아는 나토 회원국이다
민주주의 국가는 약화되었다.중국 경제에 밀려 자유주의 국가들은 방어전만 벌이고 있다.세계는 중국의 팽창에 떨고 현재 진행형인 러시아의 군사 침공에 떨고 있다.
이는 민주주의 국가 간 결속이 약화됐음을 의미한다.미소 냉전시대에는 적어도 강한 결속이 있었지만 소련 붕괴 이후 자유주의 국가들은 각자의 경제활동에 주력했다.적을 잃었으니 평화롭다는 것이다.
소련이 무너지고 동유럽국가연합도 무너졌다.지금은 러시아와 벨라루스가 옛 소련 세력을 계속 지키고 있다.지금의 러시아는 소련일까.아니 소련이 아니라 러시아다.그렇다면 지금 진행되고 있는 일은 도대체 무엇일까.세계는 그런 자문자답을 하고 있는 것일까.
NATO의 존재 의의란 무엇이었을까.소련을 중심으로 한 바르샤바조약기구라는 군사동맹과 정면 대치했고, 단 한 발의 포탄으로도 제3차 세계대전이 될 것이라는 긴장 상태에서 세계는 반세기를 살았다.
바이든 당선인은 제3차 세계대전이 될 것이기 때문에 러시아와는 전쟁을 하지 않겠다고 거듭 말했다.루마니아는 러시아로부터 비난을 받았다.우크라이나군에 공항을 빌려주고 있다는 사실을 지적받아 앞으로도 공항을 빌려준다면 참전으로 간주하겠다는 것이다.
루마니아는 나토 회원국이 된다.루마니아가 러시아로부터 포격을 받으면 어떻게 될까.이 경우에도 바이든 당선인은 제3차 세계대전이니 참전하지 않겠다고 한다면 놀랍고 미소 냉전이란 도대체 무엇이었을까 하는 생각이 들지 않을 수 없다.
러시아의 침공은 그칠 줄 모른다.푸틴은 우크라이나가 러시아의 요구를 모두 수용했을 때만 정전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협상 최후통첩으로도 보인다.경제 제재는 우크라이나 침공에서 역효과를 낳았다.러시아는 경제제재 손실을 침략으로 메우려 하고 있기 때문이다.
Putin 씨는 "선진국의 경제 제재는 선전포고와 같다"고 발언했습니다.아이러니하게도 러시아는 앞으로 침공을 멈출 생각이 없어 보입니다.
우크라이나 침공 하루 전비가 2.4조엔 - 테러와의 전쟁에 들어간 전비와 비교된다.
우크라이나 침공의 하루 전비
테러와의 전쟁에 들어간 비용은
정보전에 의한 공방
우크라이나 침공에 의한 러시아의 1일 전비가 2·4조엔이라는 시산이 거론된다.
이는 영국의 조사연구기관의 분석을 바탕으로 한 것으로 보이며, 이로 인해 러시아의 경제제재가 효과가 있어 러시아는 전쟁을 계속할 수 없게 될 것이라고 한다.
미국 브라운대 연구팀은 2021년 9월 미국의 911 이후 20년간 일련의 대테러 전쟁 비용이 8조달러(약 880조엔)에 이른다는 보고서를 내놓았다.
내역은 아프가니스탄이나 파키스탄에서의 비용이 2·3조달러( 약 250조엔), 이라크나 시리아에서의 비용이 2·1조달러( 약 230조엔) 퇴역 군인에의 요양비 2·2조달러( 약 240조엔)이다.
참전용사 요양비를 제외한 480조엔으로 추산하면 하루 657억엔이다.
이라크 시리아의 230조엔은 8년 9개월간의 비용으로 하면, 하루에 약 720억엔이 된다.자릿수가 몇 개 달라 보이기도 해.
물론 투입된 병사의 수나 사용되는 전투기 미사일 탄약의 가격 등이 다르면 전비는 크게 달라지겠지만 이들 요소를 제외할 경우 이 전비의 차이는 무엇일까.
러시아 여론을 흔드는 의미에서는 효과가 있어 보인다.하루 막대한 전비를 쓰면서 경제제재로 국내 경제가 피폐해지면 전쟁으로 인한 지출에 대한 비판이 나오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어쨌든 다양한 정보전이 현재 벌어지고 있다는 얘기일 것이다.
오노데라 전 방위상이 우크라이나 문제에 대해 바이든을 비밀리에 비판하고 일본이나 대만이나 마찬가지가 될 것이 오노데라 전 방위대신은 이번 우크라이나 건에 대해 일요보도에 출연해 견해를 밝혔다.
오노데라의 주요 발언트럼프 시대에는 군사적 자산을 배제하지 않았다.바이든은 그것을 배제했다.푸틴은 미국은 입뿐이라고 간파했다.
같은 일이 아프가니스탄에서도 일어났다.우크라이나에서도 일어났다.대만에서도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젤렌스키는 NATO에 들어가 지켜주기를 바랄 뿐만 아니라, 자신의 나라를 스스로 지킨다는 의사가 필요.그로 인해 다른 나라의 응원을 얻을 수 있다.이것은 일본에도 말할 수 있다.
경제제재는 크림반도 때도 아무것도 할 수 없었기 때문에 큰 일을 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대만은 미국과 군사동맹 관계에 있지 않다.미국의 지금 모습을 보고 대만은 결국 버려진다.중국과 사이좋게 지내자는 풍조가 대만 내에서 생겨난다
우크라이나 문제는 대만 문제와 비슷한 구조로 돼 있고 대만은 독립선언조차 하지 않고 있다.미국도 일본도 국가 승인조차 하지 않은 상태입니다.
이 관계 속에서 구체적으로 미국이 어떤 법적인 명분으로 대만 방위를 할 것인지 이번 우크라이나 문제로 회의적일 수밖에 없습니다.
미국의 대만 관계법 안에는 대만 방위를 위한 무기 공여 이외에는 '적절한 행동'이라는 모호한 문구밖에 적혀 있지 않습니다.
대만은 국제적으로는 중국에 귀속되어 있는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유엔도 중화인민공화국을 중국의 대표정부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num=187.
대만 독립은 바로 국제사회에 대만이 국가임을 선언하는 독립선언이 필요하며, 이를 관련국이 국가승인하는 흐름이 됩니다.
국가 승인 후에 동맹 관계를 처음 맺을 수 있습니다.그 전에 중국이 진공해 오면 어느 나라가 대만을 도울까요?
트럼프 전 대통령이었다면 우크라이나 문제에서 군사적 옵션을 배제하지 않았을 것이고 대만의 독립 승인을 단행하기도 했을 것입니다.푸틴 대통령은 친러 세력의 독립 승인을 너무 쉽게 했잖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