젤렌스키는 우크라이나가 나토에 가입하는 것을 포기해도 우크라이나를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고 말했다
2022-03-10
카테고리:우크라이나
Photo by U.S. Air Force Master Sgt. Jerry Morrison (licensed under CC0 1.0 )
랭킹 참여 중이에요클릭 응원 부탁드립니다.
NATO 가입은 더 이상 요구하지 않는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우크라이나의 NATO 가입을 더 이상 요구하지 않는다고 말했다.이는 러시아가 친서방 이웃나라를 침공한 이유 중 하나인 미묘한 문제다.
나토는 우크라이나를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고도 했다.2월 24일 침략을 감행하기 직전 푸친 대통령이 독립을 인정한 두 친러시아 주의 상황에 대해 '타협'할 용의가 있다고 말했다.젤렌스키는 나토 회원국에 대해 통역을 통해 무릎 꿇고 구걸하는 나라의 대통령이 되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 --AFP 기사 발췌 //>
NATO와 러시아의 거래는 가능한가
서방 국가들은 일관되게 우크라이나 문제에 대해 군대를 보내지 않겠다고 표명해 왔다.이것에 대해 제렌스키씨는 NATO의 협력을 거듭 호소해 왔지만, 현상을 냉정하게 보고 NATO 가입은 어렵다고 판단한 것 같다.
아울러 젤렌스키씨는, 우크라이나의 안전 보장을 NATO와 러시아 쌍방에 요구하고 있어, 이것을 어떻게 실현할지가 과제가 된다.
NATO와 러시아와의 합의에 대해서는 과거에 예가 있었을까.즉 약속을 주고받더라도 어느 한쪽이 이를 파기할 경우 어떻게 될 것인가를 생각하면 나토와 러시아의 거래에 대해서는 매우 신중할 수밖에 없다.
국면이 바뀐 협상
어쨌든 우크라이나의 안보가 지켜지는 것이 유일한 해결책임은 물론이다.이것을 어떻게 실현하느냐가 해결의 열쇠가 된다.여기에 젤렌스키 씨가 합의하기 시작했다는 얘기다.
POINT 젤렌스키 대통령의 메시지에 대해 NATO와 러시아는 어떤 반응을 보일지 주목됩니다.
랭킹 참여 중이에요클릭 응원 부탁드립니다.
[관련 기사]
우크라이나 헌법상 나토, EU 가입 의무 우크라이나의 중립화에는 많은 장애물이 있다.
폴로셴코 대통령 시절 헌법 개정
우크라이나 헌법 제102조
NATO EU 가입이 국시가 된 헌법
대통령 외에도 의무를 규정
터키에서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의 정전 협상에서 우크라이나 측은 새로운 안보 틀 구축을 전제로 중립화를 수용하겠다는 뜻을 밝혔지만 문제는 간단치 않아 보인다.
하나는 우크라이나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NATO 회원국들이 합동회의에 참석 하고 합의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러시아 대표단장 블라디미르 메진스키는 말했다.
또 하나 어려운 문제는 우크라이나 헌법이다.2019년 2월 우크라이나는 헌법을 개정했으며 아래 조문을 수정 가필한 바 있다.
우크라이나 헌법 제102조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국가원수이자 대표로 행동한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국가주권, 우크라이나 영토보전, 우크라이나 헌법 준수, 인권과 시민의 권리와 자유의 보증인이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유럽연합 및 북대서양조약기구에의 우크라이나의 완전가입 를 향한 국가의 전략적 코스의 실시를 보증해야 한다.
즉 나토와 EU 가입은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지향해야 할 책무라고 헌법에 규정돼 있다.
중립화를 이 헌법 안에서 확약한다면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헌법위반 를 범하고 있는 셈이다.
혹은 그 협상을 하는 것 자체가 헌법 위반일 가능성이 높다.
제85조에서는 외교상 유럽연합 및 북대서양조약기구에서 우크라이나의 완전한 멤버십 획득을 위한 국가의 전략적 코스를 실시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제116조에서는 우크라이나 장관 및 내각의 책무로서 EU, NATO 가입을 위한 전략적 코스의 실시를 정하고 있다.
이것들은 102조의 수정과 같이 행해지고 있다.
즉 대통령뿐 아니라 외교상 내각에서도 가입을 위해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즉 중립화를 하기 위해서는 이 헌법을 개정할 필요가 있다 .헌법 개정에 대해서는 156조에 의원 3분의 2의 가결, 국민투표 실시가 걸려 있다.
국제 해커 집단, 러시아 방송 해킹 - 우크라이나 침공 영상 방영 3월 7일 국제 해커집단 Anonymous가 러시아 국영 TV방송과 동영상 전송 사이트를 해킹해 우크라이나 침공 영상을 방영했다고 트위터상에서 밝혔다.
2월 25일에는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할 경우 공개적으로 러시아에 선전포고를 하겠다고 한 집단이며, 이 해커 집단은 블라디미르 푸틴 정권을 염두에 두고 있다고 twitter상에서 밝힌 바 있다.
이번에 해킹당한 것은 러시아 스트리밍 서비스인 윙크, 아이비, TV 방송으로는 러시아24, 채널1, 모스크바24로 하고 있다.
이 해킹집단은 정보통제가 이뤄지고 있는 러시아 국민의 의식을 환기시키는 것이 푸틴의 폭주를 막는 수단 중 하나라고 호소하고 있다.
바이든, 폴란드 방어 강조 - 나토의 집단적 자위권 의무로 방어
바이든 대통령은 26일 폴란드에서 두다 대통령을 만나 나토 회원국으로서 우크라이나를 대하는 폴란드의 방위에 책임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우리는 북대서양조약 제5조를 신성한 의무라고 본다.신뢰해도 무방하다"고 말했다.
애초 북대서양조약 5조는 나토 회원국의 집단적 자위권을 규정한 회원국의 생명선이 되는 조문이다.이제 와서 정상회담에서 약속할 얘기가 아니라 우크라이나 침공 후 바로 성명을 내지 말았어야 했나.
북대서양조약 제5조
체약국은 유럽 또는 북아메리카의 1 또는 2 이상의 체약국에 대한 무력공격을 전체 체약국에 대한 공격으로 간주하는 것에 동의한다.따라서 체약국은 그러한 무력공격이 행해진 때에는 각 체약국이 국제연합헌장 제51조의 규정에 의하여 인정되고 있는 개별적 또는 집단적 자위권을 행사하여 북대서양지역의 안전을 회복 및 유지하기 위하여 그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행동(병력의 사용을 포함한다.)을 개별적으로 및 다른 체약국과 공동으로 즉시 취함으로써 그 공격을 받은 체약국을 원조하는 것에 동의한다. 상기 무력공격 및 그 결과로 취한 모든 조치는 즉시 안전보장이사회에 보고하여야 한다.그 조치는 안전보장이사회가 국제의 평화 및 안전을 회복 및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한 때에는 종지부를 찍어야 한다.
이에 따라 나토는 회원국에 대한 공격에 대해 집단적 자위권을 행사할 수 있게 된다.이것이 나토가 막강한 군사동맹이라는 이유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시작된 이후, 다음은 발트 3국, 폴란드라고 했지만, 우선 선을 그어야 할 것은 이 5조의 선언이었을 것이다.
이에 트럼프 전 대통령은 취임 후 회원국들이 국방비 부담을 늘리지 않으면 방위 의무를 다하지 않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확산됐으나 6월에는 요하네스 루마니아 대통령과의 공동 기자회견에서 집단적 자위권을 행사하는 5조 지지를 천명한 바 있다.
쿠바 위기에서 바라본 우크라이나 위기 쿠바는 보호받았지만 우크라이나는 고립되었다
1959년 카스트로에 의한 쿠바 혁명이 성공하면서 쿠바는 사회주의의 길을 걷기로 결정하고 사회주의 진영에 가담하게 되어 미국 자본은 추방되었다.
이에 1961년 아이젠하우어 대통령은 쿠바와 국교 단절을 했다.차기 대통령 케네디는 미국에 망명해 있던 쿠바인들을 편성해 쿠바를 침공시키고 카스트로 혁명정부 전복을 꾀했으나 실패했다.
이에 맞서 카스트로는 반미 자세를 강화해 소련에 접근했고 소련의 흐루시초프는 핵전력 배치로 대미 우위를 점하기 위해 쿠바에 핵미사일을 배치했다.
1962년 10월, 미 공군 정찰기에 의해 소련 미사일 기지가 건설 진행 중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사거리는 미국 전역을 뒤덮은 것으로 핵무기에 의한 미국 본토 공격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었다.22일 밤 케네디 대통령은 TV연설을 통해 소련으로부터의 무기탄약, 핵무기 제조에 사용되는 물자 등이 반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 쿠바 주위 해역과 공역을 봉쇄할 것을 선언했다.
소련은 이미 물자와 무기를 실은 함선을 쿠바로 향하게 하고 있는 중이었다.미국에 의한 해상 봉쇄를 돌파하면 직접 충돌이 되고, 핵전쟁 위기가 닥치는 바로 일촉즉발의 상태에 빠졌다.
양국 정상은 물밑 협상을 거듭했고 흐루시초프는 미국이 쿠바를 침공하지 않는 대가로 미사일 기지를 철거하자는 제안을 케네디에게 전달했으며 10월 27일 합의가 이뤄지면서 핵전쟁 위기는 피했다.
우크라이나 위기와 쿠바 위기는 무엇이 다를까.
미러의 입장이 반대인 것이다.
사회주의 국가 건설을 목표로 소련에 접근한 카스트로와 민주주의 국가로 나토에 접근한 젤렌스키.이 역시 입장이 반대다.
그리고 찾아온 위기도 마찬가지인데 왜 그럴까.가장 다른 점은 전쟁 회피를 위해 케네디와 흐루시초프가 대화를 벌이다 아슬아슬한 선에서 회피됐다는 점이다.미국은 이번에는 당사자가 아니라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쿠바 위기는 미-러 대화에 의해 전쟁 위기가 회피되었습니다.우크라이나 문제에서 미국은 협상할 생각이 없고 우크라이나만 남겨졌습니다.
나토의 동방 확장은 옳지 않다고 미우라 유리는 말했다 - 불필요한 선동 - 트럼프는 유화적이었다.
국제정치학자 미우라 유리 씨가 나토의 동방 확대는 옳았느냐는 질문에 전혀 옳지 않았다고 말했다.
매스컴의 논조를 역행하는 견해다.내용상 러시아가 충분히 약화되지 않은 상황에서 여전히 핵보유대국으로서 전쟁을 벌일 수도 있는데 불필요하게 부추길 필요가 있었는가?라고 발언하고 있다.
그는 또 만약 트럼프가 대통령이었다면?이라는 질문에 트럼프 당선인이라면 동방 확대를 하지 말라고 나토에 지시해 러시아의 요구를 받아들였을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이유로는 우크라이나에 대해 그렇게까지 관심이 없기 때문이라고 했다.적어도 트럼프 당선인이었다면 적어도 키예프 침공까지는 가지 않았을 것이라고 한다.
즉 미국은 우크라이나에 많은 권익을 갖고 있지 않고 무역관계도 희박한 옛 동구권의 문제로 융화돼 나토가 무용지물로 자극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일본은 미국과 마찬가지로 우크라이나와의 실질적인 관계성은 희박하다.서구 국가들과는 별개로 냉정하게 이 문제를 보는 눈이 필요하다.매스컴이나 인터넷의 논조를 보면 감상적인 시점에서만 이 전쟁이 이야기되고 있다.
미우라 씨도 인터뷰에서 지적했지만 지금까지 이 규모의 전쟁은 세계 각지에서 여러 차례 일어났는데 왜 우크라이나 문제만 주목받느냐.그것은 선진국 간의 전쟁이기 때문이다."라고 발언한 바 있다.
지금까지도 투고해 왔지만 우크라이나의 나토 가입은 모스크바를 완전히 포위하려는 매우 위험한 시도였다.이를 위해서는 고도의 외교적 융화가 필요하겠지만 그 시도는 없었다.
반대 입장에서 미국 수도까지 600km 지점에 적성국가가 미사일을 배치한다면 미국이라면 순식간에 군사침공을 감행할 것이다.현재 전쟁이 벌어지고 있으니 이를 조속히 끝내야 한다는 논의와 전쟁이 시작된 원인에 대한 논의는 전혀 분리해 볼 필요가 있다.
그렇다고 러시아의 행동은 정당화될 수 없음은 물론이다.가장 중요한 것은 전쟁이 시작된 원인이 제거되지 않으면 전쟁이 끝날 때까지 갈 길이 멀다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