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건제와 근대화의 관계 조선 왕조에는 산업 혁명에 필요한 프롤레타리아트가 없었다
2021-07-01
카테고리:이씨 조선
랭킹 참여 중이에요클릭 응원 부탁드립니다.
산업혁명을 뒷받침한 프롤레타리아트
조선왕조에서는 산업혁명을 성공시킬 수 없다.산업혁명을 하기 위해서는 프롤레타리아트(무산자 계급), 즉 노동자의 존재가 필수적이다.
유신군이 쇄국정책의 에도 막부를 무너뜨리면서 지향한 것은 개국은 물론 봉건제도 탈피이자 막번체제 파괴다.즉 사람들이 봉건제 안에 있어 토지에 묶여 있는 이상 유동적인 노동력을 확보할 수 없다.
새로운 산업 발전에 있어서도 필요한 인재가 필요한 장소에 모일 수 없다.메이지 유신으로 발생한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토지에 얽매이지 않는 프롤레타리아트의 탄생이 있다.
중세 그대로였던 한반도
당시 한반도를 볼 때 봉건제는커녕 노비제였고 그것은 중세 사회의 것이다.더구나 내실을 따졌을 때 중세기에 발전할 만한 것이 일절 발전하지 않아 그 사회는 중세 이전의 상태였다고 한다.
이처럼 노비가 땅에 묶여 주인에게 얽매이고 자유도 없다면 산업발전을 지탱할 노동력은 어디서 나올 것인가.
유동적인 노동력이 근대화에는 불가결.
근대화를 추진하기 위해서는 구래의 봉건적 사회체제의 타파는 불가결하게 된다.메이지유신이 그랬고 신해혁명은 청나라를 탈피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그 이유로 근대화를 목표로 노비제도 폐지를 목표로 한 김옥균의 생각은 옳은 것이다.조선왕조를 무너뜨려야 근본적인 사회개혁이 가능하고 근대화의 길은 거기서 비롯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