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사를 정리한 것은 일본 - 그것을 배제하고 독자적인 역사를 만든 한국.
2021-07-13
카테고리:한일 병합
랭킹 참여 중이에요클릭 응원 부탁드립니다.
한반도사를 정리한 일본
한반도의 역사를 정리한 것은 일본이었다.그때까지 각종 문서는 그 자리에 보관돼 있을 뿐이었다.근대 역사학의 관점에서 체계화되었다.이나바 이와요시(稲葉岩吉)·스에마쓰 야스카즈(末松保和)·나카무라(中村栄孝) 에이타카 등 일본측 역사학자뿐만 아니라 홍희(洪憙)·이능화(李能和)·최남선(崔南善)·이병도(李丙燾) 등 한반도측 지식인?문화인도 참여하며 그 수는 모두 41명에 이른다.일본 학자들은 한반도 지식인들에게 근대 역사학의 사고방식과 체계화 방법을 아낌없이 가르쳤다.
작성된 것은 1,600~3,500권
한반도 전역, 일본과 만주 등지에 채방하여 차용한 자료는 4,950점, 중요한 것을 골라 작성된 복본이 1,623권, 본문의 사료가 되는 헌책은 3,500권에 달한다.
전후 배제된 역사
전후 이들 역사책은 일제 치하에서 만들어진 것으로 이를 식민사관이라 부르며 배척당했다.대신 한반도인 스스로가 만드는 민족사관이라는 것이 대두되면서 학교 교육에 도입되었다.역사학자뿐 아니라 친일 청산, 적폐 청산으로 친일파는 사회에서 배척당했다.이 민족사관이라는 것이 지금으로 이어지는 근거불명의 역사로 올라선다.
아울러 읽고 싶다
한반도는 지리적으로 중국 대륙이 뚜껑을 덮고, 역대 조선왕조는 속국화 - 대륙반도에서 본 일본의 위상이란.
한반도는 지리적으로 중국 대륙이 뚜껑
건국부터 중국의 속국
이후에도 계속 중국의 침공을 받는 조선
이민족 지배를 받아온 중국과 조선
북방민족에서 역사를 보다
일본통치만을 규탄하는 한국
한반도는반도의 지리적 특성상 중국 대륙이 완전히 뚜껑을 덮은 듯한 지형 로 되어 있어 중국과는 뗄래야 뗄 수 없는 역사를 지니고 있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갖고 있는 피해자 의식이나 일본에 대한 적대감은 도대체 무엇일까.한국에서 보는 중국과 일본의 역사적 차이는 지도상에서 보는 지정학적 이유가 크지만 그뿐만이 아니다.지배민족과 피지배민족이라는 구도로 생각해 보고 싶다.
전설상으로는 단군조선, 기자조선이라는 나라가 있으며 고고학상 존재하였다고 여겨지는 것은 그 후의 위씨조선부터라고 한다.
전설상 기자조선은 중국 은나라 기자가 건국했다고 하며 위씨조선도 중국 연나라 위씨가 건국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모두 중국의 속국으로 건국되어 있는 .
이후 고구려, 백제, 신라가 난립하는 삼국시대를 거치면서 수나라의 고구려 침공, 당나라의 고구려 침공을 받는다.
고려가 통일왕조를 만들되 건국 직후 후당의 책봉하에 놓이게 된다.그리고 중국 원나라 때 몽골제국의 침략을 받아 속국이 된다.일본에는 원구로서 몽골, 고려 연합군이 두 차례의 일본 침공을 실시했다가 실패한 바 있다.
이씨 조선을 건국한 이성계는 여진인이라고도 하며 여진인이란 만주 지역에 있던 민족으로 나중에 홍타이지가 중국에서 청 왕조를 연다.
조선민족은 중국에서 볼 때 만리장성 바깥에 사는 이민족으로 인지되었고, 그 민족들은 유목민족으로 생활을 주로 하였으나, 조선민족은 반도라는 지리적 관계상 정주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흉노, 선비, 거란, 여진, 만주, 몽고 등 북방민족은 중국 한민족의 위협이자 조선인에게도 위협이었다.
중국의 역사를 살펴보면 그 대다수를 차지하는 한민족이 세운 통일왕조는 손에 꼽을 정도로 역사상 대부분 이민족이 중국 대륙을 지배해 왔다.
세계사를 보면서 북방민족을 중심으로 한 역사라는 것을 본 적은 없지만 굳이 그 구도로 본다면 중국대륙이나 한반도나 모두 북방민족의 침략을 받고 지배되어 온 역사라는 것이 공통점으로 보인다 .
위의 한반도를 침공한 수나라나 당나라나 원나라나 중국에서는 한민족을 중심으로 생각하면 이민족 국가이다.한반도를 중심으로 볼 때도 이민족 국가이다.
한반도에 대해서는 이민족에 의한 소규모 직접적인 침공 이외에 중국 대륙 지배를 거쳐 한반도를 침공해 왔다는 것이 대부분의 흐름이다.
이러한 구도 속에서 일본은 중국의 주변 민족 속으로 분류되는 .지리적으로 표현하면 북이에 대해 일본은 그런 의미에서 동이라고 불린다.중국, 한반도에 공통된 주변 민족인 셈이다.
위와 같은 의미에서 한일병합을 볼 경우 한반도는 중국과도 공통되는 이민족 국가에 지배된 셈이다.그것은 중국의 이민족 국가이기도 하다.
한국인들이 그동안 1000년 넘게 중국에 지배돼 온 것에는 불평하지 않고 일본의 35년만 1000년을 원망한다는 모순을 지적하는 의견도 있지만 사실 중국이라는 나라 자체가 똑같이 피지배지역의 역사였다는 복잡한 배경이 있는 것일까.
일본은 역사상 지금도 중국 한반도의 공통적인 적으로 인식되고 있다는 것일 수 있다.
한국의 피해자 의식은 역사적으로 배양된 것이라고 하지만 지구본을 더 끌어보면 중국 대륙도 침략받아 온 역사 그 자체입니다.이를 바탕으로 일본은 의연하게 일본의 입장을 분명히 해야 할 것입니다.
모든 분야에서 배척되는 일정 잔재
이것들은 역사 편집뿐만 아니라 모든 분야에서 일본으로부터 가져온 근대적인 기술이나 학문은 전후 일본이 가져온 것으로서 배척되어 간다.거기에 몸담았던 사람들도 일정 잔재로 배척되어 가는 것이다.
객관성을 잃은 반도 역사관
뒤집어 보면 한일 병합 시 한반도 발전을 도운 많은 사람들이 있었다는 것이다.전후 출발점에서 반론자를 배제함으로써 성립된 역사학은 애초 학문적 접근과는 거리가 멀다.객관성이 없는 민족사관의 계속되는 이야기를 현재 한반도 어린이들이 배우고 있다.
랭킹 참여 중이에요클릭 응원 부탁드립니다.
[관련 기사]
한일 병합의 진실 - 조선왕조는 자립할 수 없었다 - 청일전쟁부터 한일 병합까지 15년간.
짧은 기간의 역사를 배우면 분명
독립 후 1년도 안 되어 국왕이 도망
고종 환궁을 위해 뿌리 돌리기
대한제국의 건국과 러일전쟁
한국의 주권을 제한
한일병합에
자립심이 결여된 이씨 조선~대한제국
일본이 한반도의 독립을 폭력적으로 빼앗은 것은 아니라는 점은,시모노세키 조약에서 한일 병합까지 단 15년의 역사를 보면 분명하게 알 수 있을 것입니다.일본은 한반도의 독립을 지원하고 결국 그것을 포기했다.이것이 역사의 진실입니다.
시모노세키 조약(1895년 4월): 청일전쟁의 강화조약에 의해 한반도는 독립국가가 된다.춘생문 사건(1895년 11월): 친러파 이범진이 총리대신 김홍집 암살을 기도한 사건.노관파천(1896년 2월):춘생문 사건을 거치면서 조선 내 싸움에 신변의 위험을 느껴 국가원수 고종이 러시아 공사관으로 도피한 사건.독립한지 1년도 안된 시점에 주권을 포기 해버린다.
고무라-베버 협정(1896년 5월) : 일본과 러시아가 공동으로 조선국의 내정을 감독하고 러시아 공사관에 있는 고종의 환궁 실현의 조건으로 러일의 군대 주둔 정원 등을 정했다.산현-로바노프 협정(1896년 6월) : 러일간에 조선의 독립을 보장할 것, 조선의 재정개혁을 촉진할 것, 근대적 경찰 및 군대를 조직할 것, 전신선을 유지할 것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졌다.
대한제국 건국(1897년): 러일 협정을 전제로 고종은 경운궁으로 돌아갈 수 있었다.국호를 대한제국이라 고치고 스스로를 황제라 칭하다.일본 및 중국과 동격이라는 의미이지만 일본은 이를 승인.러일전쟁 발발(1904년): 한반도내 러시아 이권의 확대는 계속되어 러일전쟁이 발발.
제1차 일한협약(1904년) : 한국 정부는 일본 정부의 추천인을 한국 정부의 재정·외교 고문으로 임명하게 된다. 제2차 일한협약(1905년) : 일본이 한국의 외교권을 박탈하고 통감을 두는 등 보호국화를 확정한 협약. 헤이그 밀사사건 : (1907년) : 네덜란드 헤이그의 국제회의에 고종이 밀사를 파견하여 어느 나라 대표도 접견하지 못한 사건.한반도의 일본관할권을 인정받은 회의가 되었다.
한일병합이 각의결정(1909년 7월): "적당한 시기에 한국병합을 단행할 방침 및 대한시설대강"이 가쓰라 내각에서 각의결정.이토 히로부미 암살(1909년 10월): 하얼빈역에서 이토 히로부미 암살.한일병합(1910년 8월): "한국병합 라세키술조약"에 의해 한일병합.
이상의 흐름을 단적으로 파악하면, 일본은 청일전쟁을 치르고 한반도를 독립국가로 만들었습니다.그리고 러시아 공사관으로 도망친 국가원수를 다시 조선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뿌리 돌리기까지 하여 일본이나 중국과 동등한 제국의 이름을 딴 대한제국의 건국에 이르게 됩니다.
그런데도 러시아의 남진을 전혀 막지 못하고 조선 내 친러파와 친일파의 대립은 계속됩니다.러일전쟁을 거치면서 일본은 더 이상 한반도는 자립통치를 할 수 없다고 판단 하며 권한을 제한하기 시작했습니다.그리고 순종은 일진회 등 친일파의 후원을 받아 한일 병합 조약을 체결합니다.
좁은 문이었던 조선인의 일본군 입대.전쟁의 목적을 잘 알고 있던 입대 지원자
table.bl{font-size: 14px; width:100%;}
연도지원자입소자선발률지원 배율1938년2,946명406명16.2%7.3배1939년12,348명613명4.9%20.2배1940년84,443명3,060명3.6%27.6배1941년144,743명3,208명2.2%45.1배1942년254,273명4,077명1.6%62.4배1943년303,394명6,000명1.9%50.6배
상기는 한반도에서의 일본군 모집병에 대한 한반도인의 응모 인원과 채용 인원입니다. 입대 시험에는 일본어 실력이나 이해력, 일본 문화에 대한 이해, 전쟁의 목적이나 세계 정세 등 다양한 항목이 테스트되어 1942년에는 경쟁률 62.4 대 1이 되었고 합격한 사람은 불과 1.6%였습니다.
모집에 참여한 조선인 지원병은 일본군으로서 싸우는 것은 한반도를 지키는 것이라고 알고 있었습니다.
이것이 무엇을 의미하는가 하면 전쟁에서는 일본인이 최전방에서 싸우고 한반도인은 후방지원이라는 형태로 군수관련 공장에서 일한다는 것이었습니다. 지원하지 않으면 전쟁에 나가지 않았습니다.
한반도에서 징병이 시작된 것은 종전 전인 1944년부터입니다. 한반도인 군인의 사망자율은 9.2%, 일본군 전체의 사망자율은 해군이 24.22%, 육군은 19.76%입니다.
입대한 한반도 병사들은 언어는 물론 이 전쟁의 목적이 아시아 개방을 위한 전쟁이라는 점과 역사적 배경 등을 충분히 이해한 후 자원했다. 아시아 방위는 한반도 방위와 동의한다. 그들은 한반도를 지키기 위해 지원했습니다.
현재 한국에서는 일본군에 입대한 젊은이들은 친일의 배신자라고 합니다. 군인의 명예에 진흙을 계속 칠하는 행위는 비열하다고 밖에 말할 수 없습니다.
안중근은 이토 히로부미의 얼굴을 몰랐다. 안중근은 이토(伊藤)의 얼굴을 몰랐다는 것은 그 자신의 자서전을 보면 분명합니다.1909년 10월 26일 그 시간에 얼굴도 모르는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가 하얼핀 역을 방문한다는 것을 왜 알고 있었을까요?
안중근자전 마지막 페이지--
먼저 얼굴이 노랗고 수염이 있는 노인에게 발포했다.
나는 이토(伊藤)의 얼굴을 모르기 때문에 다른 사람과 착각했다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당황하면서 가장 위엄 있는 인물을 향해 발포했다.
러시아의 아시아 식민지 계획은 시베리아 철도를 보면 분명하다
러시아의 진출을 배경으로 하지 않으면 아무것도 보이지 않습니다.육로로부터의 아시아 식민지 계획입니다.
1850년 시베리아 철도 계획이 시작되었다.
1884년 러-조 수호통상조약··청일전쟁 개전 다음날 러시아와 조선이 조약 체결.
1885년 러-조 밀약사건··일본, 청-영국을 견제할 목적으로 맺으려 한 밀약.첫 번째는 이홍장, 두 번째는 원세개에게 발각돼 실패.
1888년 러-북 육로통상조약...러시아인을 한반도 100리까지 무비자로 입국할 수 있도록 하였다.
1890년 시베리아 철도가 우랄 강을 넘는 다리가 완성.
1896년 러시아는 청으로부터 만주의 북부를 횡단해, 하얼빈등을 경유하는 동청 철도의 부설권을 취득(러청 밀약).
1897년 블라디보스토크에서 하바롭스크까지의 철도, 우수리선 완성
1898년 뤼순·다롄 조차·중국 뤼순·다롄을 러시아가 조차.요동반도가 러시아로 넘어가다.
1900년 마산포 조차...경상남도 마산포(현재의 창원시)를 러시아가 조차.
1900년 만주·한반도 교환론·만주의 이권을 일본이 러시아에 인정함과 동시에 한반도에서 러시아가 손을 떼자는 협상(러시아는 묵살)
1900년 북청사변··의화단의 난을 평정할 목적으로 러시아가 만주로 진군, 평정 후에도 퇴거하지 않고 눌러앉는다.
1902년··일·영 동맹
1903년 용암포 사건...러시아군이 압록강 하구(현재 북한) 용암포에 군사거점을 건축
1903년 러청 밀약에 의한 동청 철도 완성.
1904년 발틱 함대가 블라디보스토크를 향해 출항.
1904년 바이칼 호수 개통으로 시베리아 철도 전 노선이 개통되었다.
1905년 일본해해전에서 발틱 함대가 괴멸하여 종전.포츠머스 조약 체결
1905년 일본이 한반도 외교권 박탈, 보호국화
1907년 헤이그 밀사 사건
1909년 이토 히로부미 암살
1910년 한일 병합
파리국제회의장서 제출된 인종차별철폐법안 세계최초 일본 제안 1919년 일본은 파리에서 세계 최초로 국제회의장에서 인종차별 철폐를 제안했다.참가국들은 깜짝 놀랐다.그런 발상이 없었기 때문이다.일본은 러일전쟁 이후 국제적 위상이 비약적으로 향상되어 1920년 발족하는 국제연맹에서는 상임이사국이 된다.
그 전 단계 회의장에서 무슨 말을 꺼낼 것인가 하는 것이다.일본의 설득에 의해, 앞으로 한 걸음에 가결이라고 할 때에 미국의 맹반발을 받아, 가결에는 이르지 못했다.미국은 노예제도보다 우위에 있는 경제를 운영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여기서 말할 수 있는 것은 일본은 아시아 각국의 식민지 현황을 우려해 그 비판을 통해 새로운 국제질서를 만들고자 했다는 것이다.대동아공영권 구상이란 무엇인가.그것은 아시아 개방과 백인 지배의 배척이었다.
일본은 쑨원의 중화민국 건국을 돕고 김옥균을 지원했다.김옥균의 삼화주의는 일본 조선 중국이 불가침의 독립을 유지하고 국력을 높여 백인 지배와 맞선다는 생각이다.
그 밖에도 아시아 각국에서 일본으로 유학 온 장래의 지도자들이 있었다.일본은 아낌없이 근대화의 혜택을 전했다.청일전쟁에서의 한반도 독립도 마찬가지다.이토 히로부미는 한국통감 퇴임 때까지 한반도 독립론이었고 병합 전년까지 유지되었다.
한반도 이외의 아시아 국가들은 이러한 것들을 잘 알고 있다.그래서 현재까지도 친일이다.대만에서 종군한 사람들은 지금도 아시아 개방 싸움에 참가한 것이 자랑스럽다고 말한다.
어떤 전쟁도 옳은 것은 아니지만 싸우는 데는 이유가 있다.패배하더라도 그 이유야말로 중요하다.미일의 시각에서는 정반대일 것이고 한국의 시각도 다를 것이다.아시아 시점에서 보면 많은 것들이 보인다.
두 번째는 1943년 대동아회의 기념사진
일본 : 도조 히데키
중화민국: 왕조밍
만주국: 장경혜
필리핀 공화국: 호세 라우렐
버마 국가: 바 모우
태국 왕국 : 원 와이타야콘
인도: 찬드라 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