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옥균과 미야자키 도도천일전쟁 전에 일본에서는 청나라에 대한 분노가 불타오르고 있었다.
2021-06-30
카테고리:한일 병합
랭킹 참여 중이에요클릭 응원 부탁드립니다.
손문이나 김옥균과도 교류가 있어 신해혁명을 뒷받침한 미야자키 도도텐의 저서 『33년의 꿈』에는 김옥균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적혀 있다.
김옥균의 암살을 일본인들이 어떻게 포착했는가
김옥균 참살 소식은 일본 전역을 크게 놀라게 했다.
문제는 청·조선 양국의 김옥균 암살이 일본 전역에 예상을 뛰어넘는 분노의 폭풍을 일으켰다는 점이다.그래서 때마침 조선 전라도에 발생한 동학당의 난이 확산된 것과 맞물려 이를 큰 트리거로 한 청일 개전 시계가 급격히 움직이기 시작하였다.
아사쿠사 혼간지에서의 김옥균 본상이 메이지 27년의 5월 20일, 청일전쟁의 화투가 끊어진 것이 8월 1일. 그 사이, 불과 2개월 조금, 「쏘아라 응징이나 청국」의 대합창은 순식간에 청일 양국 개전으로 치닫고 만 것이다.
당시에도 한반도는 친중과 친일이 대립하고 있었다
김옥균은 일본형 문명 개화를 목표로 한 조선인으로 갑신사변으로 당시 실권을 쥐고 있던 민비에 대해 쿠데타를 일으킨 인물입니다.
쿠데타는 좌절되어 삼일천하라고 불렸고, 그 후 일본으로 망명합니다.거기서 이누요타케시나 미야자키 도도텐, 후쿠자와 유키치등의 지원을 받아 친교를 돈독히 합니다.그러나 김옥균은 민비에 준 옛 친구에게 속아 상하이로 향했고, 그곳에서 암살당합니다.
사진은 당시 신문 기사에서 일본인이 본 것입니다.김옥균은 자신의 혁명에 이르지는 못했지만 죽은 모습이 일본인들을 움직이며 한반도를 독립으로 이끌었다.
POINT청일전쟁의 원인은 동학당의 난이라고 하는데, 그 전에 김옥균의 암살로 인해 일본 국민들의 청나라에 대한 적의는 충만했음을 미야자키 도도천이 표현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