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식대 국제학부 오선화 교수는 처음 일본 유학을 왔을 때 일본 문화를 이해하지 못해 괴로워했다고 한다.한국에서는 친구의 물건과 자신의 물건을 구분해서는 안 되는 문화라고 한다.
친구라면 마음대로 쓸까?
수업 중에 친구 필통을 마음대로 열어 사용하고 마음대로 되돌린다.문구뿐만 아니라 가방 속 물건 과자 음식 돈까지도 테이블 위에 올려놓으면 써버린다.사용된 쪽은 자신을 친구라고 생각해 주었느냐고 기뻐하기 마련이란다.
일본은 자기 것과 남의 것을 구별한다
물론 일본에 그런 문화는 없다.언제까지나 친구는 당시의 오선화씨에게 펜을 잊어버렸으니 빌려줄래?라고 묻고, 돌려올 때마다 고맙다고 한다.오선화 씨는 언제까지나 친구로 인정해 주지 않는다.외국인이라 받아주지 않을까 고민하던 시절이 있었다고 한다.
MEMO
자신의 것을 타인과 공용하는 것이 친구관계의 증거라는 것으로 일본과는 전혀 감각적으로 달랐던 것 같습니다.
일본은 머리가 이상한 사람들의 나라.300만부
다른 한국인 중 이런 경험을 거쳐 일본에 온 지 2년 반 만에 한국으로 돌아온 사람이 한국에서 일본 문화에 대한 책을 냈다고 한다.일본은 머리가 이상한 사람들의 나라라고 쓴 반일 책은 300만부 가 팔리며 대학 등 일본 문화 연구자들이 자주 인용하는 본보기라고 한다.
공유문화가 사기대국으로
친구의 것은 자기 것.이는 금액의 대소에 관계없다.큰 액수의 돈이라도 돕기 위해 돈을 내야 친구라고 한다.그 때문에 최근 소송 습관이 일반적이 됨에 따라 한국은 사기대국 가 되었다고 한다.게다가 어디까지가 친구로서 돈을 땄는지, 어디서부터가 사기인지 알 수 없다고 한다.즉 공유하는 동안 돌아오지 않는다.그것이 상태화되어 있던 것이 법률에 비추어 보면 사기 행위의 연속이라고 하는 결과가 되고 있는 것 같다.
다케시마 문제도 근저에는 이 생각이
이를 토대로 오선화씨는 외교상의 문제에도 통한다고 말했다.일본은 경제발전을 한 나라이기 때문에 돈을 무상으로 제공하는 것이 당연하다고 한국인들이 생각한다.이때 고맙다는 말은 쓰지 않고, 일본에는 섬이 많으니, 섬의 1개 정도로 소란을 피우는 것이 친구일까.시코쿠만큼 한국에 줘야 우호관계 아닌가.실제로 그런 감정이 적어도 근저에는 있다고 설명하고 있다.
POINT
실제로 일본에 살고 있는 오선화씨의 실제 체험을 섞은 한일의 차이는 놀랍지만 참고하면 왠지 모르게 보이는 것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