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단교는 정치적인 결단 민간 활동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2021-07-13
카테고리:한국
랭킹 참여 중이에요클릭 응원 부탁드립니다.
한일 단교를 외치는 사람들은 한일 모두 많지만 징용공 판결, 백색국가 제외 문제를 거치면서 저는 처음부터 한일 단교는 상정에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아베 전 총리는 백색국가 제외 문제는 징용공 판결의 보복이 아니라 국가와 국가 간의 약속이 지켜지지 않은 문제라고 2019년 7월 3일 이미 견해를 밝힌 바 있습니다.
1965년 협정이란 한일 국교 회복을 한 조약 속 청구권에 관한 협정입니다.이 협정의 파기는 국교의 전제를 잃는 것이며, 단교에 이르는 것은 자명한 일입니다.
국교가 없는데 우방인 대만 국교가 있으면서 험악한 나라인 한국
자, 단교가 구체적으로 민간 차원에서 어떤 문제가 있을까 생각해 보면 올린 동영상 링크는 일본인과 대만인 유튜버 부부입니다.
민간인 간의 결혼(계약)이 허용된다면 당연하지만 민간의 경제활동은 허용됩니다.정부 간에 결정해야 할 전략 물질, 군사와 관련된 제품 등은 규제를 받을 것입니다.
현재 도쿄 올림픽 개회식에 참석할 것인지, 안 할 것인지로 이렇게까지 의사소통을 할 수 없는 것은 실질적인 단교 상태일 것입니다.
국교가 없으면 이해관계도 발생하지 않는다
국교가 없는 나라는 반대로 더 이상 이해관계가 발생하지 않고 전쟁에 이르지 않는 측면도 있습니다.
위험한 상태인 것은 단교가 아니라 도항 금지 명령입니다.일본은 대만이라는 특수한 관계의 나라를 가지고 있습니다.정부 간 교류가 없는 것이 민간 차원에서 문제가 된 적은 없습니다.
랭킹 참여 중이에요클릭 응원 부탁드립니다.
[관련 기사]
한일 기본 조약은 한일 국교 회복의 기초가 되는 조약 법 해석에 있어 견해가 갈릴 경우 입법자의 의사 해석이 중요해집니다.그 법률이 제정되는 과정과 그 과정에서 입법자의 의사가 불분명한 경우 입법자의 저서, 사상, 철학에 대해서도 동원되어 논의된다.
적어도 한일 청구권 협정의 해석에 대해 회의록은 고려해야 할 것입니다.의사록이기 때문에 양국 참가자의 서명이 존재한다.한국 정부는 1965년 협정 자체를 국민에게 비밀로 했을 정도니까.
[한일청구권협정 제2조]
1량 체약국은 양 체약국 및 그 국민(법인을 포함한다)의 재산, 권리 및 이익, 양 체약국 및 그 국민 사이의 청구권에 관한 문제가 1965년 9월 8일에 샌프란시스코 시에서 서명된 일본과의 평화조약 제4조에서 규정하는 것을 포함하여 완전하고 최종적으로 해결된 것임을 확인한다.
[의사록]
협정 제2조에 관하여
(g)동조 제1에서 말하는 완전하고 최종적으로 해결된 양국 및 그 국민의 재산, 권리 및 이익과 양국 및 그 국민 사이의 청구권에 관한 문제에는 한일회담에서 한국측이 제출한 '한국의 대일청구요강'(이른바 8개항)의 범위에 속하는 모든 청구가 포함되어 있어 동일한 대일청구요강에 관해서는 어떠한 주장도 할 수 없게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문재인대통령은 모르는 것 같지만 한일청구권협정을 포함한 한일기본조약은 한일 국교의 기본이 되는 조약이다.
벨라 파우치 문신 욱일기 연상시킨다고 한국인 비난
필리핀 사람과 아직도 싸우고 있나봐요.인스타그램에 투항한 셀카 이미지 문신이 욱일기를 연상시킨다며 한국인들이 일제히 벨라 파우치 씨를 공격한 건에 대해 한 번은 사과했던 벨라 파우치 씨가 이후 저뿐만 아니라 다른 필리핀인들을 모욕하는 것을 용납할 수 없다고 밝히면서 더욱 가열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우려되는 것은 필리핀은 총기 사회입니다.살인 발생률은 일본의 25배입니다.필리핀 영어 유학이 한국인이 가장 많다고 들었는데 괜찮을까요?한국의 상식이 세계에 통용되는지 시험하고 있는 것일까요?
일본해군은 구축함과 잠수함을 필리핀 해역에 파견하거나 전직 미국 해군기지 재개발에 일본이 협력하는 등 군사적 협력관계를 진행하고 있다.필리핀이 욱일기를 부정할 거라고 생각하는 걸까요?뭐 힘내세요.
캐치올 규제와 그 내용 - 한국은 백색국가였는데 그 의미를 이해하지 못했다.
바세너 어레인지먼트는 재래식 무기 수출 관리에 관한 국제적 합의로 한일을 포함한 42개국이 협정을 맺고 있습니다.이것을 전제로 해 일본은 캐치올 규제를 도입해 대량살상무기나 재래식 무기의 개발등에 사용될 가능성이 있는 화물의 수출이나 기술의 제공 행위등을 실시할 때, 경제 산업 대신에게 신고해 허가를 받는 것을 의무화했습니다.
그룹A:26개국(백색국가)그룹B:6개국(한국포함)그룹C:A,B,D에 해당하지 않는 국가그룹D:유엔 무기금수국 및 지역, 수출국이 지정한 우려국
위의 틀은 자국의 안보상 관점에서 수출국의 재량에 따라 결정됩니다.그 때문에 일본은 「수출 관리의 운용의 재검토」라고 항상 말하고 있습니다.한국은 이번에 일본이 수출규제를 했다고 하지만 일본은 운용을 재검토했을 뿐 정해진 절차를 밟으면 지금까지처럼 수출된다.이걸 2년이나 지났는데도 아직 이해를 못하고 있어.반대로 그동안 이 기본적인 것을 이해하지 못하고 백색국가였다면 반대로 무서운 일이다.그룹 D에 들어갔다고 생각하는 걸까.현재 일본으로부터 수출 규제를 받고 있는 것은 그룹 D입니다.
덧붙여서 그룹 D는 아프가니스탄, 중앙아프리카, 콩고민주공화국, 이라크, 레바논, 리비아, 북한, 소말리아, 남수단 및 수단 우려국 이란 등 11개국입니다.
세계의 혐한 감정 중국으로부터도 미움을 받고 있는 한국
BBC의 일본과 한국에 대한 긍정적, 부정적 인상에 대한 데이터를 비교했을 때, 한국에 대해 부정적인 인상을 갖는 것은 놀라는 나라들이 줄을 잇는다(참고 wiki)
일본은 과거에 중국과 전쟁을 했으니 중국의 대일감정은 짐작할 수 있는데 한국은 도대체 무엇일까.중국의 대한 감정으로 한국이 사드 배치를 결정하면서 중한 관계가 악화된 것은 2016년이지만 그 이전 중국 내 조사를 봐도 상당히 평판이 좋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2007년 신화통신 조사결과 좋아하지 않는 이웃 한국 1위
2007년 『천애 커뮤니티』의 조사 결과.'가장 싫어하는 나라' 한국 1위
2009년 『환구망』 조사 결과.한국에 호감이 없다는 응답이 94.6%
세계에 대한 반일 캠페인은 애초 글로벌 경쟁 속에서 한일은 산업 형태가 비슷하고 일본의 이미지를 떨어뜨리기 위해 벌이는 전략이기도 하다는 점은 오래전부터 지적되고 있다.
그런데 데이터를 보면...애초에 남을 헐뜯어 자신이 이득을 본다는 생각 자체가 잘못된 것은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