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칙해도 이기면 돼.스포츠의 개념이 다른 나라에 기대해서는 안 된다.
2023-09-30
카테고리:한국
랭킹 참여 중이에요클릭 응원 부탁드립니다.
일본 스포츠는 심신을 단련한다
일본에서는 스포츠는 심신을 단련하기 위해 실시하는 것에 의문이 없으며, 모든 계층에서도 그것이 요구된다.게다가 각 경기의 왕자도 인격적일 것으로 기대되고 있기 때문에 승자의 인터뷰에 대해서는 일본인은 매우 신경을 쓴다.
원래 체육과 스포츠는 다른 의미
체육은 몸을 움직이는 운동을 교육의 하나로 받아들여 몸을 단련하는 것뿐만 아니라 정신과 인격을 향상시킨다는 의미에서 스포츠와는 구별된다.스포츠는 순전히 그 경기나 승패를 즐기는 것으로 여겨진다.즐기기 위해서는 규칙을 지키면서 생기는 형평성 속에서 비로소 승패를 즐길 수 있다.스포츠맨십으로도 표현된다.
반칙 사정 등의 나라
한국이 하는 것이 체육일까 스포츠일까 생각하면 안타깝게도 둘 다 실패한 것처럼 보인다.스포츠에 정치적인 주장을 가져와서는 안 된다고 해도 참지 못하고 욱일기에 난리를 치거나 영토 주장을 선수 자신이 필드 내에서 하는 것이 영웅시된다.이기기 위해서는 반칙도 마다하지 않는다.룰은 심판이 보고 있을 때 지키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일까.여기에 스포츠맨십이라는 개념도 없다.
대표가 반대로 난폭해지는 나라
일부 선수들이 하는 일이라는 반론을 받겠지만 상대적인 수로는 한국 선수들의 반칙이 너무 많다.그리고 국제대회에 나가는 선수가 그것을 한다는 것이다.처음에 썼듯이 일본에서는 초등학교 때부터 체육이라는 개념으로 스포츠를 포착하면서 상위 선수가 될수록 그 단련을 계속하고 있다는 것으로 국가대표로서 부끄럽지 않은 행동이 요구된다.국제대회에 나갈 수준이 되면 그런 반칙행위를 하는 선수는 거의 없다고 해도 좋다.
스포츠의 목적이 근본적으로 다르다
스포츠는 대한체육회라는 조직이 모든 것을 총괄한다고 하지만 체육보다는 반일 활동에 열심인 것 같고 그 사고방식은 국제적으로도 상당히 동떨어져 있다.
랭킹 참여 중이에요클릭 응원 부탁드립니다.
[관련 기사]
역사에 대한 불성실과 현재의 불성실, 그리고 현재의 현실 대만 반도체 기업 TSMC에 일본의 5,000억엔 지원에 대해서는 한국 측이 시장 왜곡이라며 WTO에 제소할 것으로 알려졌다.일본 정부, 일본 국민에 대해 뱉은 침은 잊어버리는 것 같다.WTO는 학교 선생님 같은 것일까.쟤는 항상 고자질하러 온다.오늘 모테기 외무대신이 대만에 30만 회분의 백신 추가 제공을 발표했다.
일본 열도 분단의 상정 그것은 우문 일본은 한국처럼 무조건 통일하고 싶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한국인 저널리스트(변진일씨)가 남북한 통일에 대해 한국인들은 대부분 통일을 원하고 있다는 것이 사실이라고 설명했었다.다음으로 일본이 전후 동서로 분단되면 어떨까요?통일하고 싶지 않아요?그거랑 똑같은 거죠.이런 말을 가끔 듣는다.
일본인들로서는 이런 당돌한 설문에 침묵하는 경우가 많지만 설문은 언제나 단순히 분단된 경우라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예를 들어 서일본이 공산주의화하고 독재정치로 국민에게 자유도 없고 핵무기까지 가지려 하면서 동맹국에 대해 도발행위만 반복하고 있다면이라는 설문에 구체적으로 했다면 일본인이라면 절대 통일을 원하지 않을 것이다.어디까지나 체제 붕괴와 사람들의 개방이 모든 전제가 된다.
역사 문제가 모두에서 파생되는 한일 관계.역사문제화하는 일본을 한국은 거부하고 있다.
한일문제란 무엇일까.그것은 역사 문제다.
역사문제라고 해서 벌써 77년이 넘은 얘기다.일본 정부는 정치문제가 아닌 역사학상의 문제로 삼기 위해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를 설립했으나 한국은 이를 중도에 거부했다.
그렇다면 전쟁 전과 전후의 한일관계를 분리할 경우 어떻게 될까.
한일은 1965년 국교정상화됐고 1998년 한일공동선언 때까지 공식적인 문화교류는 없었다.1965년 협정, 한일공동선언, 기타 여러 한일간의 약속을 무시하고 77년 이상 된 역사문제를 현재진행형으로 문화,경제를 막론하고 계승하고 있는 가 한일관계가 된다.
역사문제를 계속 외치는 한국이 왜 일본 정부가 역사문제로 삼기 위해 역사학자들 간의 견해에 맡기려는 시도를 거부하는지는 알 수 없다.
2트랙 전략이라는 말을 한국 정치인들은 많이 쓰지만 일본에서 보면 단순한 쌍설외교에 불과하다 .일본은 이미 2트랙 전략을 제시했다.
그것은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이용한다는 생각이 아니라 단순하게 역사문제와 정치문제를 분리하는 것이다.
고이즈미 정권 하에서 발족한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는 현재 전혀 활동을 하고 있지 않은 상태입니다.이걸로 역사문제를 어떻게 해결할까요?
세계유산 등재를 늘 반대하는 한국.문화의 의미가 세계와 다르다.
일본에 여러 나라에서 사람들이 방문하는 이유는 다양하며, 문화와 역사, 애니메이션과 만화, 고양이 카페와 메이드 카페와 일본 전통 음식 및 기타 미식가 등이다.이들은 문화라는 틀에서 평가된다.그렇다면 문화의 정의는 도대체 무엇인가를 살펴보면, 「문화란 사회 속에서 공유되는 사고방식이나 가치기준의 체계나 집단이 가지는 고유의 양식」으로 되어 있었다.
문화유산이란 어느 정도의 시대를 거쳐 존속한 것이어야 하며, 그 이후 시대에 큰 영향을 준 원인이 되는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으며, 그것들은 각국의 '문화'라는 가치기준이나 정의에 따른 범위 내에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게다가 일본의 세계문화유산은 20개 등재되어 있다.
이런 의미에서 일본의 세계문화유산 등재에 대해 문제제기를 하는 나라는 한국뿐이다.이는 역사 문제가 아니라 단순히 문화라는 정의나 틀이 달라 보인다.독일의 아우슈비츠나 이탈리아의 콜로세움이 세계유산이 된 이유에 대해 그들은 설명할 수 있을까.콜로세움은 서로 죽이는 투기장이다.
각국의 문화에 대한 공통된 개념이 세계문화유산의 전제가 된다면 아우슈비츠나 콜로세움이나 문화유산이라는 데 일본인 중에서 이견을 제기할 사람은 없을 것이다.이것은 일본인의 사고방식이 된다.즉 한국과는 다르다.
일본을 방문하는 사람들이 일본 전국의 도로에 쓰레기가 거의 떨어지지 않은 것이나 세계 유수의 선진국에서 자연환경이 청결하게 지켜지는 경치를 목격하러 오는 것은 이 역시 세계에서 유례없는 일본문화 그 자체라고 할 수 있지만, 이러한 국가 전체에 퍼져 있는 문화를 문화유산으로 여기는 틀이나 전례는 없다.
설령 이런 문화적 틀이 세계의 정의에 부합한다고 해도 반발하는 곳은 역시 한국뿐일 것이다.
한국에 대한 양보는 잘못되었다 한국은 의연한 대응이 필요하다
무토 마사토시 씨는 외교관 시절 한국과의 대응에 대해.뭐든지 얘기를 듣고 최대한 요구를 들어온 것이 잘못이었다고 발언하고 있다.
한국에서 행해지고 있는 반일 운동에 대한 질문에서 총리 시절에 아소 다로 씨는 저쪽 사정이 있을까요, 일본인이 신경 쓸 것은 없어요.라고 대답하면서 가상의 적국이라는 말이 유행했다.한국은 국내 사정으로 반일운동을 하고 있다는 시각이었다.
현재 우리의 적국은 일의적으로 북한임에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625전쟁은 아직 끝나지 않았고 목하 정전 중이다.38선을 경계로 적국과 서로 노려보는 가운데 일본을 적국이라고 말하는 한국 여론을 보면 어디까지 현실도피를 하고 있는가 하는 생각이 들지 않을 수밖에 없다.
같은 틀 안에서 생각할 때 중국은 한국전쟁의 틀에서 한국의 적국측 입장에 있다.한국 정부는 그동안 안보상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채 북한 중국 미국 등에 적의를 표명하면 즉각 보복조치를 취할 수 있기 때문에 군대를 포기하고 반격해오지 않는 일본에 화살을 계속 돌렸다.위세 좋은 말을 해서 국민의 관심을 얻기 위해서다.이때 과거 병합시대 이야기는 이용하기 쉽다.그런 환경을 일본은 이해하고 한국의 반일운동을 묵인해 왔다.
정리해야 할 것은 이 모든 환경이 우리에게 항상 현실의 문제라는 점이다.우리 국민은 반일만 했다면 일시적으로라도 문제가 없어진 듯한 기분에 젖을 수 있을 것 같다.아직도 반일 깃발이 오르면 척수 반사로 아무것도 잊어버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