랭킹 참여 중이에요클릭 응원 부탁드립니다.
가자지구에 계속되는 공격 - 민간인의 정의란 무엇인가|예고가 없었던 원폭 투하.
가자 지구에서의 분쟁이나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해 국제법상 전범의 사고방식이 너무 취약하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 민간인이나 민간시설, 군인, 군사시설에 대한 정의에 대해서.이러한 전쟁이 끝난 후에 국제사회는 재정의할 필요가 있다.
미국 헌법 수정 제2조에서는 미국인은 주방위군의 일원이며, 그 헌법 해석에 의해 총기 보유가 인정되고 있다.이들은 민간인일까, 병사일까.징병제가 깔려 있는 예를 들어 한국에서는 징병기간이 종료된 사람은 예비병으로 등록되어 있다.이들은 민간인일까, 병사일까.
난징사건에서 국민당군은 사령관이 도망치고 국민당군은 민복으로 갈아입고 민가로 달아나 민간인을 방패삼아 전투를 벌였다는데 이들은 민간인일까, 병사일까.이들이 농성한 민가는 그 시점에서 군사시설이 되지 않았을까.아니면 변함없이 민가일까.
도쿄 재판에서 일본군이 난징 안전구에 대한 포격을 하지 않았다는 것은 일본군의 침공을 학살이라고 증언한 라베에 의한 것이다.난징(南京)의 민간인은 국제법에 의해 구획된 난징(南京) 안전구로 도망치는 것은 가능했다.가자 지구는 남북으로 50㎞ 정도이며 남부로 피난하려면 최장 25㎞ 정도이며 하루 만에 이동이 가능하다.
인간 방패라는 방패가 민간인일까 병사일까.적어도 그들은 자신의 집을 지키려고 목숨을 걸고 잔류하고 있는 것일까.이들은 민간인일까, 병사일까.
즉 이 정도로 과거의 일본을 심판한 국제법과는 취약하며, 지금도 그 생각에 근거해 민간인 살해를 비판해서는 자위권 발동에 의한 전쟁을 부정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그 안에서 이 싸움을 보고 있다.답해야 할 것은 민간인과 병사의 명확한 구분이다.
도쿄 대공습은 122회에 이른다고 하는데 그때마다 미군은 앞으로 공습을 하겠다고 일본 민간인들을 향해 하달했을까.아니면 히로시마 나가사키에 투하될 원자폭탄이 투하되기 전에 이만큼 광범위하게 피해가 가는 다른 차원의 폭탄이 투하된다.거기서 살아남기 어렵다는 통달을 트루먼은 했을까요?만약 행해졌다면 당시 일본의 민간인은 피난했을까요, 아니면 싸우기 위해 남았을까요?
이런 국제법 등은 억지효과일 뿐 실제 전쟁에서는 전혀 의미가 없다.
사도금산의 세계유산 등재 신청에 또 반대하는 한국 일본이 강제노역이 아니라는 근거
2021년 4월 간 내각에서의 각료회의 결정 및 군함도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및 이번 사도금산 등재 신청에 있어 당시 징용은 강제노동(forced labor)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견해의 근거를 게시합니다.근거가 되는 1930년의 'Forced Labour Convention'입니다.
군함도 등록시에도 한국은 맹렬히 반대하며 일본이 forced labor 라고 기재한다면 지지한다는 입장을 취하고 초안까지 제시해오고 있습니다.일본은 이를 거절했고 한일 외무장관 회담에서 최종적으로 한국 측은 forced to work 로 기재하는 데 동의했습니다.
한국 측은 강제노동은 'Forced Labour Convention'에서는 forced labor로 표현한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그 기재를 고집한 것입니다. 징용은 forced labor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Article 2-2에 기재되어 있습니다.국가총동원법상 징용은 이 중 (b)에 해당합니다.
한국측은 일본 사도가네산의 세계유산 등재 신청 움직임에 대해 강제노동을 하던 것을 세계유산으로 만드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며 반대하고 있습니다.이것은 군함도 때와 같은 견해를 일본 측은 나타낼 뿐입니다.
C029 - Forced Labour Convention, 1930 (No. 29)
C029-1930년 강제노동협약(No.29)
ARTICLE 1
1. Each Member of the International Labour Organisation which ratifies this Convention undertakes to suppress the use of forced or compulsory labour in all its forms within the shortest possible period.
제1조
1. 이 조약을 비준하는 국제노동기구의 각 회원국은 가능한 한 짧은 기간 내에 모든 형태의 강제노동 또는 강제노동의 사용을 억제할 것을 약속한다.
ARTICLE 2
1. For the purposes of this Convention the term forced or compulsory labour shall mean all work or service which is exacted from any person under the menace of any penalty and for which the said person has not offered himself voluntarily.
2. Nevertheless, for the purposes of this Convention, the term forced or compulsory labour shall not include--
제2조
(1) 이 조약의 적용상 강제노동 또는 강제노동이란 어떠한 벌칙의 위협을 받아 강제되는 동시에 그 자가 자발적으로 신청하지 않은 모든 노동 또는 서비스를 말한다.
(2)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조약의 적용상, 강제노동 또는 강제노동에는, 다음의 것을 포함하지 않는다.
(a) any work or service exacted in virtue of compulsory military service laws for work of a purely military character;
(a) 순수한 군인적 특성을 가진 업무를 위하여 강제병역법에 따라 규정된 업무 또는 복무
(b) any work or service which forms part of the normal civic obligations of the citizens of a fully self-governing country;
(b) 완전자치국 국민의 정상적인 시민적 의무의 일부를 구성하는 업무 또는 서비스
(c) any work or service exacted from any person as a consequence of a conviction in a court of law, provided that the said work or service is carried out under the supervision and control of a public authority and that the said person is not hired to or placed at the disposal of private individuals, companies or associations;
(c) 법원의 유죄 판결에 의해 해당 업무 또는 서비스가 공공기관의 감독 및 통제 하에 수행되고 해당 개인, 회사 또는 협회에 고용되거나 처분되지 않는 것을 조건으로 하는 어떠한 업무 또는 서비스
(d) any work or service exacted in cases of emergency, that is to say, in the event of war or of a calamity or threatened calamity, such as fire, flood, famine, earthquake, violent epidemic or epizootic diseases, invasion by animal, insect or vegetable pests, and in general any circumstance that would endanger the existence or the well-being of the whole or part of the population;
(d) 긴급사태 즉 화재, 홍수, 기근, 지진, 심한 전염병 또는 동물전염병, 동물전염병, 해충의 침입 및 일반적으로 동물의 생존 또는 건강을 위험에 빠뜨리는 어떠한 상황에서도 전쟁 또는 재해 또는 위협적인 재해가 발생한 경우 엄격하게 규정된 작업 또는 서비스 인구의 전부 또는 일부.
(e) minor communal services of a kind which, being performed by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in the direct interest of the said community, can therefore be considered as normal civic obligations incumbent upon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provided that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or their direct representatives shall have the right to be consulted in regard to the need for such services.
(e) 해당 공동체의 구성원이 해당 공동체의 직접적인 이익을 위해 실시하는 경미한 공동체 서비스로서, 공동체의 구성원 또는 그 직접적인 대표자가 협의를 받을 권리를 갖는 것을 조건으로,공동체 구성원에게 부과되는 통상적인 시민적 의무라고 볼 수 있는 것, 그러한 서비스 또는 그에 필요한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