랭킹 참여 중이에요클릭 응원 부탁드립니다.
2024 자민당 총재 선거에 난립하는 후보자, 각 후보자에 대한 인상 정리
자민당 총재 선거가 임박하여 입후보자가 차례차례로 이름을 올리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시바 시게루, 고바야시 타카유키, 하야시 요시마사, 타카이치 사나에, 고노 다로, 고이즈미 신지로, 아오야마 시게하루, 모테기 도시미쓰, 우에카와 요코 씨(순부동) 등입니까. 이 중에서 언론에서 자주 이름이 오르는 것이 이시바, 고노, 고이즈미 씨인데, 언론표라고 할까요. 이시바씨에 대해서는 여계 천황 용인이나, 부부 별성 추진이라고 하는, 보수적인 생각은 얇고 리버럴 경향이 강해, 입헌 민주당에 전적하면 어떻겠느냐고 야유하는 소리가 오르고 있을 정도.
왕위 계승 문제에 대해서는 이미 지식인 회의에서, 「여성 황족이 결혼 후에도 황실에 남는 안」과 「구황족의 남계 남자를 양자로 맞이하는 안」의 2안으로 좁혀져 국회에 보고서가 보내져 있다. 히사히토 친왕 전하가 태어난 후 이미 여성, 여계 천황의 검토는 이루어지지 않고, 남계 남자 양자안으로 향하고 있다는 것. 이에 따라 중참 양원의 의장, 각 당 대표들이 모여 5월 17일부터 협의가 시작되고 있습니다만, 이시바씨의 발언은 모두 탁袱대답하는 것이라고 자민당원으로부터도 비웃고 있다.
부부별성제도에 대해서도 당초 지적된 문제점으로 이혼 시 행정기관이나 금융, 기타 절차에서 옛 성으로 되돌리는 작업이 힘들다는 이야기였을 텐데 법 개정에 따라 호적제도의 대폭적인 변경 없이 옛 성 이용이 가능해진 상태이기 때문에 조금 논의가 시대에 뒤떨어진 것일까, 바로 언론 대응의 발언일까 하는 생각마저 듭니다.
고바야시 타카유키씨에 대해서는 전회에는 타카이치 사나에씨의 응원으로 돌아갔던 보수측의 사람이지만, 사고방식이라고 하면 고 아베씨, 타카이치씨와 거의 같고, 반대로 그만큼 임팩트가 옅은 인상. 그렇다면 타카이치씨를 선택할 것이라고 하는 이야기입니다만, 젊은 입후보자로서 고이즈미씨의 당원표를 깎는 역할로는 잘 일하지 않을까.
고노 다로 씨에 대해서는, 방위 대신 시대에는 이지스 어쇼어 배치 계획을 백지로 해 버리거나, 전회의 총재 선거에서는 적 기지 공격 능력 유지에 반대를 표명하거나, 측정하지 않아도 친중파 의원으로서 자기 소개하는 결과가 되어, 전신 대화상을 입은 기억이지만 출마하는 것 같고, 이미 유통 기한이 끝난 것 같은 인상도 있어, 유권자에게도 싫증이 나고 있는 것 같은 느낌.
고이즈미 신지로씨는 이렇다 할 실적이 떠오르지 않고, 부친 양도나 말의 사용법은 메시지성을 의식한 화법을 하는 것은 인기의 이유인지, 어쨌든 반원전이나 클린 에너지라고 하는 곳에서는 지반인지 벗어날 수 없는 것 같다. 스가씨의 추천이라고 하지만, 카나가와현에는 이 에너지 이권이라는 것이 있는 것일까 생각해 버린다.
모테기씨에 대해서는 두뇌 명석한 인상이 있어, 그 점은 좋지만 외국인 지방 참정권에 대해 몇번인가 언급하고 있어, 왼쪽 경향이 강한 인상. 유럽을 보았을 경우, 외국인 지방선거 정권에 대해서는 비EU제국적의 외국인에게는 참정권을 인정하지 않는 나라가 많고, 비EU제국적이라도 특정한 나라만 인정하는 케이스의 나라등이 있다. 비EU제국적을 불문하고 참정권을 주는 것은 북유럽 정도의 것. 이렇게 생각할 때 일본에 있는 외국인은 어떤 외국인인가. 반일국가 출신의 중국, 한국인에게 참정권을 주는 방안에 대해서는 유럽을 본보기로 삼았다는 논리에는 많은 의문이 있다.
아오야마 시게하루씨에 대해서는, 역사 인식등에 대해 크게 찬동할 수 있는 것으로, 애국자이기 때문에 응원하고 싶지만, 참의원 의원인 점이 걸림돌. 참의원이 총리총재가 된 전례는 없고 해산권을 참의원이 갖는가 하는 모순이 아무래도 존재한다. 참의원에는 해산이 없고, 중의원 해산과는 달리 총사퇴이며, 전원 해고로 취급되어 의원직을 상실하지만, 총리대신만은 국회의원으로 계속 있는 이야기가 된다. 「국민의 신을 묻는다」라고 하지만, 자신만은 묻지 않게 될 것이므로, 부디 중의원 의원으로 교체 출마해 주었으면 한다.
하야시 요시마사 씨, 가미카와 요코 씨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떠오르지 않을 정도로 논외. 임씨는 친중 의원이라는 이야기나, 카미카와씨는 중국으로부터 무엇을 당해도 무슨 말을 들어도 허수아비처럼 움직이지 않는 외상이라는 인상. 아마 키시다 사이드로부터 타카시표를 깎기 위한 대항마로서 여성 입후보자를 세워 오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견해도 할 수 있다.
고 아베씨의 정책을 계승하고 있는 것은 타카이치씨이며, 한층 더 발전형이 되고 있다. 탈원전 등 케케묵은 이야기는 하지 않고 핵융합로에 대한 투자와 산업화라는 선구적인 정책을 내세운다. 인플레이션 타겟 2%까지 증찰하는 것도 필요. 현재 금리차로 엔화가 약세를 보이고 있지만, 증권에 의한 것은 아니고, 단순히 엔화의 가치가 떨어지고 있을 뿐이다. 결과적으로 인플레이션율은 달성돼 수출 경쟁력이 올라가기도 하지만 지폐 총량이 늘어나지 않으면 월급 액면은 오르기 어렵다. FRB는 연말에 금리를 인하한다고 연초에는 이미 발표해, 트럼프씨가 대통령이 될 경우, 한층 더 현재의 상태가 계속 될지는 모른다. 금리차가 감소해 엔고 경향이 되었을 경우, 본래의 증권에 의한 인플레이션율 2%를 실현해 주었으면 한다. 다카이치씨는 안전 보장에 대해서도 군수 산업에 대한 투자를 분명히 내걸고 있고, 새로운 산업의 상상 육성이라는 비전도 있다. 가장 구체적이고 전략적인 구상을 갖고 있다.
자민당 압승·헌법 개정까지의 길
이번 중의원 선거에서 자민당이 261개, 공명당이 32개로 여당 의석수가 293개가 됐다.헌법 개정에 대해서는 유신회가 41로 약진했다.합치면 334이며, 465석에 대해 71.8%이니 2/3이 넘는다.
2017년 총선이 이 3당에서 69.6%니까 큰 틀에서 증가한 셈이다.헌법 개정에는 중의원의 2/3, 다음에는 참의원의 2/3이 필요하다.참의원은 현재 62.8%로 부족하다.
아베 전 총리는 헌법 개정을 발의할지에 대해 신중한 발언을 해왔다.국민 여론이 아직 성숙하지 않았기 때문에 여러 논의를 국민을 향해 제기해 나가야 한다고 했다.
중의원, 참의원에서 2/3, 국민투표에서 과반수를 얻지 않으면 헌법 개정이 되지 않는다.국민투표에서 실패하면 다음에 발의하는 것은 문턱이 크게 올라가고 다음에는 언제 발의할 수 있을지 모르는 것이다.
자민당 공명당도 헌법 개정에 대해 같은 견해에 서 있지 않다.자민당은 개헌파이고 공명당은 가헌파다.
이번에 유신회가 공명당을 앞섰기 때문에 연정을 유신회로 교체하면 좋겠다는 얘기를 하는 사람도 있지만 자민당+유신회에서는 64.9%로 근소하게 부족하다.더구나 유신회는 헌법 9조에 대해 명확한 헌법 개정안을 마련하지 않고 있다.
자민당으로부터 제안이 있었을 경우는 당연히 논의한다고 하고 있다.유신회는 집권 여당에 들어가는 카드로서 9조 개정안을 유보하고 있다는 견해도 있다.적어도 3당의 공통된 헌법 개정안을 마련해야 시작된다.
그리고 참의원은 내년 여름에 참의원 선거가 있다.개헌안 마련과 참의원 선거 움직임이 관찰 포인트다.이번에 스가 총리가 퇴임한 것과 같은 일이 벌어질 가능성이 있다.
프라이머리 밸런스의 족쇄가 사라진 30년을 만들었다 지금이야말로 재정 출동이 필요하다
잃어버린 30년은 재정흑자화의 굴레에서 태어났다
국가위기에 재정출동하지 않을래?
과거의 일본은 지금의 중국과 같은 존재
일본은 왜 긴축재정에 나섰을까
이노베이션을 일으켜도 빼앗겨만 가는 30년
이러한 문제에 명확하게 대답한 사람은 타카이치 사나에 의원뿐
프라이머리 밸런스 흑자화의 주박은 야당이 재정 긴축화를 정부에 호소하는 격의 재료가 됐다.다카하시 요이치(髙橋洋一) 씨는 인플레이션 목표 2%까지는 재정 출동, 즉 지폐를 찍어도 상관없다고 말한다.
아베 총리도 다카이치 정조회장 역시 2%의 인플레이션 목표를 내세운다.원래 프라이머리 밸런스의 이야기는 버블 붕괴 후에 성행하게 되었다.
대기업이 많이 도산하는 가운데 재정 출동을 반복해 국가가 적자를 내고 재정 파탄을 한다는 것이다.버블 붕괴는 국가 경제의 위기였다.
그렇다면 국가위기에 재정출동을 하지 않고 도대체 언제 하는 것일까.1989년(1989년)에는 세계 기업의 시가총액 랭킹 50개사 중 32개사가 일본 기업이 차지했지만, 2019년 중 일본 기업은 1개사밖에 없어져 버렸다.
버블기에는 미국에 있어서 일본은 현재의 중국과 같은 존재였다고 생각된다.중국처럼 불법적인 사업에 의한 성장은 아닌 것은 분명하지만 미국 경제에 있어서의 위협이었다는 것은 틀림없다.
미국은 일본의 거품 붕괴를 예측했을 것이다.아니면 그 계기에 관여할 수도 있는 나라일 것이다.
버블 붕괴 후 과감한 재정출동이 가능했다면 일본은 조기에 후유증에서 벗어나 성장궤도로 돌아올 수 있었을 것이다.금년 12월 3일에 미 재무성이 발표한 환율 조작 감시 대상의 11개국에 일본이 들어가 있다.
현재 미중 관계에는 무역 마찰이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덧붙여 동아시아의 방위도 관련되어 있습니다만, 당시의 일본은 마찬가지로 미일 무역 마찰을 안고 있었습니다.
버블 붕괴 후에도 다양한 이노베이션을 일본 기업은 일으키고 있다.세계 최초로 휴대 전화로 인터넷을 실시한 i-mode나 가방 속의 카메라나 계산기, 메모장등을 휴대 전화에 집약하는 올인원의 발상이나, 소셜 네트워크의 원조로서 mixi가 있다.
이러한 발상은 미국 GAFA의 독무대가 되었다.일본은 새로운 산업구조를 만들어내는 싹을 틔우고 있었음에도 물과 영양분이 부족한 것이다.
그렇다면 왜 그것이, 혹은 누가 그것에 스톱을 걸었을까.
내압, 외압, 여러 가지를 상상할 수 있다.일본은 대차대조표상 재정이 건전해 재정 출동에 따른 국가 재정 파탄은 일어나지 않는 것이다.지난 총재 선거의 쟁점은 바로 여기에 있었다.재정 출동과 국방 그 두 가지다.
거기에 명확하게 대답한 사람은 다카 시의원뿐이었고, 그 밖의 후보자들이 하는 말은 전혀 잘 알 수 없었다.
저공비행을 계속하는 일본경제. 성장궤도로 돌아가기 위해서는 로켓엔진이 필요합니다.